상단영역

본문영역

흔를리는 신화

  • 기자명 김현주 편집국장
  • 입력 2012.04.26 20:48
  • 댓글 13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13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2012-05-01 14:55:17
근거 제시 해달라니까 자기 주장만 열심히... 에효... 선동문구만 잔뜩 나열. 거 참 어디서 많이 보던 방식이네. 저어기 북쪽.
蛇足 2012-05-01 01:25:23
제목 흔를리는 신화는 흔들리는 신화의 誤打 겠지요? ㅎ ㅎ ㅎ
한심한 일 2012-05-01 01:17:47
무식해선지 삐뚜러져선지 헷갈릴만큼 기형적인 눈으로 기사를 쓰는 두어가지 다른 신문들에 비하면 포커스는 그래도 합격선을 넘는 것 같아 꼼꼼히 읽어 봅니다.
세계 일류기업이 된만큼 일거수 일투족이 남의 눈에 뜨이는 입장이니 작은 실수도 크게 보일수있다는 삼성에 대한 충고가 담긴, 김기자님의 이 사설은 잘 쓰신 것입니다
이제 그만 하겠습니다.
한심한 일 2012-05-01 01:08:06
중공업에 투자를 하게하려면 다소 특혜를 줄 수밖에 없었고, 또 약점을 잡아 남산 지하실특실에 모셔다가 협박도 해야 하니 함정삼아 부조리도 저지르게 할 수밖에 없었을 것입니다. 그것이 세상돌아가는 이치입니다.
그런일들을 돌아보며 반성을 하는 것은 좋지만 빈대잡는다고 초가삼간 다 태우는 일은 피하고 보아야 할 일 아닐가요?
한심한 일 2012-05-01 01:06:56
독깨는 일이 생길 것 같아 한마디 한것입니다.
더욱이 “기자면 다냐” 는식의 말투는 인신공격적 폭언이나 다름없는 것이고 더구나 나이 어린 여자분에게 쓸 말은 아니쟎습니까?
과거에 박대통령이 사람만 바글거리는 손톱만한 땅에 자원도 없이 국력을 키우려면 중공업 육성밖에는 없는데, 당장 돈이되는 옷장사나 먹을 것 장사나 하려드는 당시의 재벌들을 설득해서 자본을 회수하려면 십년 이십년 기다려야 하는 중공업에 투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