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평창을 응원합니다

  • 기자명 김현주 편집국장
  • 입력 2018.02.08 07:46
  • 댓글 5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5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덴버맨 2018-02-14 08:27:01
https://www.youtube.com/watch?v=8N2Q56773SE
https://www.youtube.com/watch?v=UZBwEo4W4H8
덴버 2018-02-11 05:50:01
이래도 평창응원 ?
http://m.sports.naver.com/general/news/read.nhn?oid=001&aid=0009878977
http://sports.hankooki.com/lpage/entv/201802/sp20180211002622136730.htm
권영숙 2018-02-10 22:17:21
1조 후원하고도…
기업인들은 평창에 안보인다

신은진 기자 | 2018/02/10 03:19

"주식회사 대한민국, 돈과 정치가 이상한 올림픽을 만든다."

미국 신문 뉴욕타임스(NYT)는 7일(현지 시각) "올림픽은 전 세계 사람들의 시선을 붙잡을 수 있는 행사라 개최국 대표 기업이 대대적으로 후원하며 홍보 효과를 노리는 게 보통"이라며 "그러나 한국 기업은 평창올림픽 전면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다른 미국 언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올림픽을 원한 한국 정부는 IOC 위원인 이건희 삼성 회장을 사면했고, 평창올림픽 유치에는 이 회장의 역할이 컸다"며 올림픽 유치 과정의 비화를 상세히 보도했다.

한국 기업이 평창올림픽 유치에 결정적 기여를 했지만 정작 올림픽에서는 소외됐다는 외신(外信) 보도가 나왔다. 9일 개막식 현장에서도 유치에 앞장서고 1조원 이상을 후원한 재계가 홀대받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기업, 올림픽 후원 오해받을까 두려워해

NYT는 "한국의 올림픽 후원 기업들은 다른 주요 스포츠 행사와 달리 덜 공격적으로 마케팅한다"고 했다. 30년 만에 한국에서 열리는 올림픽인데 정작 한국 기업이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것이다. 삼성의 경우,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뉴욕 타임스스퀘어 전광판까지 빌려 광고했으나 이번 올림픽에는 너무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NYT는 "한국 기업이 평창 경기 후원에 대한 자신들의 공헌이 오해받을까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국내 재계에서는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를 겪으면서 정부 주도의 스포츠를 후원했다가는 나중에 뇌물죄로 기소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퍼져 있다. NYT는 "문재인 대통령이 여자 아이스하키팀을 남북 단일팀으로 꾸리면서 현지에서 상반된 반응이 나오고 있다"며 "기업 입장에서 올림픽을 (적극적으로) 후원하는 게 위험한 문제가 됐다"고 했다.

◇대기업 1조원 이상 후원·기부…
재계 홀대론까지 나와

개막식 공식 일정에서 올림픽 유치에 앞장섰던 재계는 전면에 나서지 못했다. 개막식에 앞서 문 대통령이 주최한 리셉션장인 용평리조트 블리스힐스테이에는 각국 정상들과 정세균 국회의장, 김명수 대법원장, 이진성 헌재소장 등이 참석했다. 추미애·안철수·유승민·이정미·우원식 등 각당 대표·원내대표 등 정치인과 소설가 이외수씨, 맛 칼럼리스트 황교익씨 등 200여 명이 초청받았다. 이 행사에 참석한 재계 인사는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전(前) 평창 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이다.

같은 시간 용평리조트 내 그린피아콘도 1층 그랜드볼룸에서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도 별도의 리셉션 행사를 열었다. 여기에 참석한 재계 인사는 박용만 대한상의 회장,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장,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등 경제 단체장들이었다.

대한스키협회장인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전국경제인연합회장이며 공식 기부사 GS그룹의 허창수 회장, 공식 파트너사인 포스코 권오준 회장, KT 황창규 회장 등 재계 고위 인사들은 주로 스탠드에서 개막식 행사를 지켜봤다. 행사에 참석한 한 재계 인사는 "평창올림픽이 문화·평화·경제·ICT(정보통신기술)·환경 등 5대 올림픽이라고 하더니 '경제 올림픽'은 확실히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기업 사장은 "정부는 돈이 필요할 때만 우리를 찾고, 빛나고 생색나는 자리에는 정치인만 초청하는 걸 보니 씁쓸하다"고 말했다.

평창 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에 기업이 낸 돈은 1조원이 넘는다. 평창조직위는 "국내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의 후원금과 기부 금액이 당초 목표액 9400억원 대비 107.3%인 1조92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또 이와 별도로 지난달 이낙연 국무총리는 후원사 기업 대표들에게 "신세를 진 김에 한두 가지만 더 부탁을 드리겠다"며 올림픽 티켓 구매에 적극적으로 나서 달라고 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당시 그 행사는 표를 많이 사라는 공문과 다름없었다. 실제로 상당수 기업이 그 직후 표를 구매했다"고 전했다.

http://m.chosun.com/svc/article.html…
김권한 2018-02-10 02:15:10
문재인이는 생각과 행동이 경솔하다. 이 엄중한 시국에 미국부통령을 핵으로 위협하고 인권을 탄압하는 수괴들과 같이앉아 식사하라니. 이런 결례가 어디있나? 미국은 한국의 가장우국인 맹방이다. 종북주사파의 생각은 상식과 거리가 멀다. 국내용으로 우민들 선동하기는 좋을줄 모르나, 국제사회는 용납 안한다. 저런 행동을하니 시진핑에 왕따당하고 혼밥쳐먹고 구타당하지
덴버맨 2018-02-09 14:43:08
밤에는 촛불시위, 낮에는 여관에서 남녀가 한방에서 딩굴며 혼숙하던 낭만에 아직도 취해 그때 그 시절을 자랑스럽게 떠벌리는 4050세대.. 그렇다면 2030세대는 어떠한가?
https://www.youtube.com/watch?v=jPFEiGRAggU
https://www.youtube.com/watch?v=NapQsQEWFe4
https://www.youtube.com/watch?v=UVVONCzR6ME
https://www.youtube.com/watch?v=1Xx3VkWCrDM
https://www.youtube.com/watch?v=6Hy83RiEKN0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