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망막 혈관이 막혀 발생하는 이른바 ‘눈 중풍(망막 혈관폐쇄증)’이 급증하고 있다. 60대 남자 환자가 가장 많지만 흡연을 하면서 기름진 음식을 즐기고 스트레스가 많은 30~40대에서도 10명 중 2~3명꼴로 발생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서부지부 이대일 원장에 따르면 눈 중풍은 망막의 동맥이 막히는 경우와 정맥이 막히는 경우로 크게 나눈다. 동맥이 막힌 경우 대개 수명이 다 된 형광등이 깜박깜박하듯 보였다 안 보였다 하는 증상이 반복된다. 이는 24시간 이내 즉각 치료하면 실명으로 악화하는 것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흔한 경우는 아니지만 시신경 안에 있는 중심 동맥이 막히면 그 자리에서 바로 실명하게 된다. 정맥이 막히는 눈 중풍은 이보다 흔한데 이는 정맥으로 피가 들어가는데 빠져나오지 못해 황반부종, 유리체 출혈 등을 일으킨다. 중심 정맥이 막혀 눈에 산소 공급이 안 되면 우리 몸은 홍채 주변에 스스로 신생혈관을 만들어 죽은 조직을 먹여 살리려고 한다.

   이런 신생혈관들이 방수(눈에서 분비되는 물)를 막으면 안압이 높아져 신생혈관녹내장과 같은 2차 합병증을 유발한다. 합병증으로 황반부종이 온 경우 최근에는 망막 출혈 흡수 전에 항체주사나 스테로이드 안내 주입술로 시력을 빨리 회복시키고 있다. 망막 질환이 생기면 대개 병이 상당히 진행할 때까지 시력저하 등 자각 증상이 거의 없다. 간혹 망막 혈관에 소량의 출혈이 생기는데 이때는 눈앞에 검은 점이나 날파리 같은 것이 어른거리는 비문증이 나타날 수 있다. 이대일 원장은 “만약 시력이 떨어지거나 초점이 잘 안 맞아 뿌옇게 보이거나 눈부신 증상이 나타날 정도가 됐다면 이미 병이 중증으로 진전된 상태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고혈압은 황반변성도 일으킬 수 있다. 황반은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신경조직으로 사람의 시력 중 90%를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이다. 황반부에 변성이 일어나 시력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 황반변성이다.
나이가 들면 황반의 세포와 혈관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망막에서 나오는 노폐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망막 아래에 노폐물이 쌓인다. 이 때문에 시야를 가려지고 시력장애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특히 흡연은 황반변성 위험을 2~5배 높인다. 황반변성이 오면 사물의 중심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고 직선이 구불구불하게 보이거나 물체가 찌그러져 보인다. 시간이 지나면서 군데군데 암점이 생기고 중심 시야가 까맣게 변한다. 이는 돋보기나 안경을 써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황반변성이 한쪽 눈에 있으면 50% 정도가 반대쪽 눈에도 생긴다.

   황반변성 치료 시 비삼출성인 황반변성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지 않으나 삼출성은 시력보존 치료가 필요하다.  이대일 원장은 “고혈압은 관리하지 않으면 전신혈관에 많은 합병증이 발생하므로 꾸준한 생활습관 개선과 의사 처방에 따른 관리로 고혈압 망막병증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