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한의사는 초진시 거의 모든 증상의 환자에게 소화가 잘 되는지 아닌지를 물어본다. 그만큼 한의학에서는 소화기관을 중요히 생각한다. 옛말에 잘먹고 잘자고 배설잘하면 무병하다고 하는 말이 있을 정도로 소화기능은 인체의 어느 기능보다 중요하다. 임상을 하면서 소화가 잘 되는 환자보다 잘 되지 않는 환자가 더 많은것을 본다. 음식을 먹고 나서 배꼽주변이 아프다던지 배에 가스가 차서 배안이 부은듯한 느낌과 위 부위가 쓰리고 트름이 자주 나오고 명치 부위가 그득하여 내려가지도 올라오지도 않아 답답함을 느끼고 가끔은 위산이 올라오는 듯하고 심지어는 구역과 구토를 하기도 하는데 위와 같은 증상을 일컬어 소화 불량이라 이야기 할 수 있다. 이같은 만성적인 소화불량은 위에 염증이 생기거나 과민성 대장 증상, 급성적인 췌장염,갑상선 질환(Thyroid Disease),위식도 역류 질환(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위암(만성 소화불량이 위암에 의한 것일 확률은 드물다),아스피린등의 특정 약의 부작용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질환에 의한 것보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소화불량이 더 많은 것 같다. 임상을 하면서 많은 환자들이 피검사나 위 내시경등의 모든 양방적 검사를 하였으나 아무런 원인을 찿지 못하고 마지막으로 한의원을 래원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소화 불량을 호소하는 환자를 진찰할때는 동반하는 증상,호소하는 증상의 발현부위, 음식과의 관계,음식섭취후 나타나는 시간, 증상의 지속시간등을 면밀하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음식물의 적체가 오래되면 담음(痰飮)이 나타나고 이것이 많이 쌓이면 담적(痰積)이 발생하게 된다. 만성위염의 주증상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담음은 소화기능이 떨어지면서 기력이 약한 경우 인체에 과잉된 습(濕)과 열(熱)이 만나서 생성된다. 끈적끈적한 가래와 같은 형태이며 이를 담적이라고 하는데 담적이 나타날 쯤되면, 복벽의 긴장이 심하여 복근운동을 많이 하신 분들처럼 배가 단단하게 뭉치게 된다. 이것이 말랑해져야 위의 운동기능이 좋아져 소화기능이 향상이 되는데 담적을 치료하다 보면, 점점 말랑해져 담음의 형태가 되고, 이때 배를 눌러보면 꾸룩꾸룩 물소리가 들리며, 담음을 해소하면 이런 소리도 사라지게 되고 정상적인 위기능을 회복하게 된다.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서 내시경상 정상인 사람도 많은데, 이를 기능성위장장애라고 한다. 위와 같은 증상들을 치료함에 있어서 역시 체질에 따른 치료를 하게 되는데 환자가 자신의 위(胃)가 무력함을 느끼며 소화가 되지 않는 경우도 항상 위기능이 약해서 생기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선천적으로 다른 장부의 기능에 따라 나뉘는 체질에 의해서 어떤 체질은 오히려 선천적으로 위기능이 강하게 태어난 체질이 잘못된 섭생에 의해서 위기능이 더욱 강해져서 소화불량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체질을 토양체질이라 하는데 이 토양체질이 위기능을 강하게 해주는 닭고기를 평소에 많이 먹게되면 강한 위기능이 더욱 강해져서 장부의 불균형이 일어나게 되고 급기야 소화기 계통의 질환으로 발전하게 된다. 이와 상반되는 체질인 수음체질의 경우 선천적으로 위가 약하게 태어났는데 돼지고기라든가 보리,미역를 장복하게 되면 위기능이 더욱 약하게 되어 위하수 증으로 발전 할 수 있다.체질침으로 증세가 호전이 된다해도 체질에 맞지 않는 음식을 먹으면 치료효과가 반감되고 만다. 처음에는 자신이 즐겨먹던 음식에 제약을 가하면 고통스러울지 몰라도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기분이 좋고 속도 편해지며 컨디션이 좋하지게 된다. 어떤 환자는 치료중에만 체질식을 하다가 치료가 끝나면 체질식을 포기하고 자기 체질에 해로운 음식을 마구 먹다가 재발하여 오는 경우도 더러 있다.그러나 체질식을 꾸주히 지키면 재발이 거의 되지 않는다. 우리가 흔히 소화불량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심하지 않은 소화 불량이라 할 지라도 치료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하게되면 심각한 질병으로 발전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 기자명 weeklyfocus
- 입력 2012.04.19 21:2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