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금자 9명이 불법 강제노동 혐의로 시설 상대 제소후 11년만에

연방대법원이 10일부터 콜로라도주 오로라의 이민자 구금시설(Auroras immigration detention center)을 상대로 제기된 집단소송 심리를 시작했다.

10일 덴버 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이번 심리는 시설 운영을 맡은 민간 교정회사 지오 그룹(GEO Group)이 제기한 기술적 항소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사건의 본질인 강제노동 시스템 의혹 자체는 아직 판단 대상이 아니다.

2014년 9명의 전 구금자를 대표해 제기된 이 소송은, 해당 민간 교정회사가 무작위로 일부 이민자들을 지정해 시설 일부를 무보수로 청소하게 했으며 이를 거부할 경우 독방 수감 등의 징계를 내렸다고 주장하고 있다. 원고측은 이같은 행위가 불법 강제노동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연방대법원이 이번에 다루는 쟁점은 보다 복잡한 절차 문제다. 지오 그룹은 자신들이 정부 계약업체로서 소송 면책 특권(derivative sovereign immunity)을 갖고 있다고 주장했지만 하급심 연방판사는 이를 기각했다.

이에 회사측은 항소했으나 2024년 말 콜로라도를 관할하는 제10연방항소법원은 하급심 판단을 뒤집지 않았다. 항소법원은 본안 소송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지오 그룹이 독자적으로 항소할 수는 없다고 판시했다.

이번에 연방대법원이 판단할 사안은 바로 이 부분 지오 그룹이 지금 항소할 자격이 있는지 여부다. 지오 그룹은 올해 초 연방대법원에 개입을 요청하며, 유사한 사안에서 전국 법원들의 판단이 엇갈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만약 연방대법원이 회사측 손을 들어줄 경우, 사건은 다시 제10연방항소법원으로 돌아가 지오의 면책 항변이 타당한지를 검토하게 될 전망이다.

11년째 이어지는 이번 소송은 복잡하고 장기화된 법적 공방의 한 단면이다. 사건이 처음 제기될 당시 대법관 9명 중 4명은 아직 임명되지 않았던 시기였으며 지금까지 약 40명의 변호사가 각 진영을 대표해 참여했다. 지오 그룹은 이미 여러 차례 항소를 시도했으며 한 차례는 연방대법원에서도 심리 불허 결정을 받은 바 있다.

피고측 이민자들을 대리하는 덴버 변호사 데이비드 셀리그먼은 연방대법원에서 직접 변론할 기회를 갖게 돼 기대가 크다면서 이 사건은 2014년부터 이어져 왔으며 지오의 반복적 지연 전략에 우리 의뢰인들과 우리는 깊은 좌절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바라는 것은 단 하나, 법정에서 우리의 주장을 정당하게 다루어 달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오 그룹은 지난주 기자의 이메일 질의에 답하지 않았다. 다만 연방대법원 제출 서류에서 제10연방항소법원의 결정은 파생적 주권면책(derivative sovereign immunity) 기각이 항소 가능한 독립 명령(collateral order)인지 여부에 대한 연방항소법원간의 심각한 분열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라고 주장했다.

이번 연방대법원 심리에는 트럼프 행정부 역시 참여 의사를 밝혔으며 피고측(지오 그룹)이 아닌 원고측(구금된 이민자측) 입장에 서서 지오의 항소 주장을 반박할 예정이다.

이 소송이 이어지는 동안 미국의 이민정책은 여러 차례 급격한 변화를 겪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대규모 추방 정책 속에서 오로라 시설은 수용 한도인 1,500명까지 확대됐고, 정부는 덴버 북동쪽의 폐쇄된 민간 교도소를 재가동해 이민자 구금용으로 활용할 계획도 추진 중이다. 해당 시설 역시 과거 지오 그룹이 운영했던 곳이다.

비영리단체 카사 데 파즈(Casa de Paz)의 안드레아 로야 대표는 문제의 노동 정책은 지금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올해 초 일부 구금자들이 이에 항의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소송과 법원 기록에 따르면, 오로라 시설에서는 매일 각 수용동(pod)에서 무작위로 6명의 구금자를 선발해 전체 구역을 청소하게 했다. 이를 거부할 경우 징계 전출, 최대 72시간의 독방 구금, 특혜 박탈, 경고 등 다양한 제재를 받을 수 있었다고 제10연방항소법원의 제롬 A. 홈스 수석판사는 지난해 판결문에 적시했다.

소송 초기에 원고 측은 구금자들이 하루 1달러를 받고 조리·세탁·조경 등 시설 유지 작업을 수행하는 자발적 근로 프로그램도 문제 삼았다. 그러나 연방법원 존 L. 케인 판사는 구금자들은 피고의 직원이 아니므로 최저임금법 적용 대상이 아니다라며 해당 청구를 기각했다.

반면, 다른 주에서는 상반된 판결이 나왔다. 워싱턴주에서 지오 그룹이 운영하는 별도의 이민자 구금시설을 상대로 한 소송에서 배심원단은 근로자들에게 1,730만 달러의 임금 체불 보상금을 인정했고 판사가 추가로 6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주대법원과 연방항소법원 모두 구금자 측 손을 들어줬다.

지오 그룹의 조지 졸리 이사회 의장은 지난 6일 실적 발표에서 우리는 그 판결에도 항소해 대법원 심리를 요청했다. 그 어떤 회사도 구금시설내 근로자에게 주 최저임금을 지급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2025년 3분기 순이익 1억 7,390만 달러, 올해 9개월 누적 순이익 2억 2,250만 달러를 기록했다고 보고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