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일본 손잡고 같이 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일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에 맞서 호주와 희토류 및 핵심 광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백악관은 이날 “미 전쟁부(국방부)가 서(西)호주 지역의 연간 100메트릭톤급 갈륨 정제소 건설에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는데, 이 프로젝트는 펜실베이니아주(州) 기반 세계적 알루미늄 제조 기업인 ‘알코아’와 일본 국영 에너지 기업인 에너지·금속광물지원기구(JOGMEC), 종합상사 소지쓰(Sojitz)가 협업해 진행을 주도하고 있다. 알코아는 이날 “갈륨은 반도체·방위 산업을 비롯한 기술 분야에서 필수적인 핵심 광물”이라며 “미국·호주·일본은 이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미국의 톱티어(top tier) 동맹인 호주·일본이 트럼프의 ‘희토류 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신호탄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이날 백악관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핵심 광물·희토류의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미·호주 프레임워크’에 공동 서명했다. 양국은 “국방 및 첨단 기술 제조업 기반을 뒷받침하는 데 필요한 핵심 광물과 희토류의 안정적 공급을 가속하기 위한 공동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향후 6개월 동안 30억달러(약 4조2000억원) 이상을 핵심 광물 프로젝트에 공동 투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프로젝트를 통해 회수할 수 있는 자원 가치가 530억달러(약 75조원)에 달한다는 것이 백악관의 설명이다. 희토류와 핵심 광물은 자동차·반도체·노트북 등 각종 전자기기의 핵심 부품에 사용된다. 호주는 세계 4위의 희토류 생산국인데, 이번 발표는 ‘희토류 수출 통제’를 대미 지렛대로 활용하는 중국의 협상력을 약화시키고 대(對)중국 압박을 높이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호주·일본과의 희토류 삼각 협력이다. 전쟁부는 이날 서호주 지역의 연간 100메트릭톤급 갈륨 정제소 건설에 투자할 예정이라 밝혔다. 워싱턴 DC의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이번 사업은 미국·호주·일본 3국 간의 협력 사업이 될 것”이라며 “갈륨은 지각에서 100만분의 19 미만으로 존재하며 오직 보크사이트 채굴의 부산물로만 생산된다. 세계 2위의 보크사이트 매장량을 보유한 호주는 이런 정제 시설을 위해 지질학적·상업적으로 가장 적합한 입지를 제공한다”고 했다. 알코아는 올해 말까지 투자 여부를 최종 결정해 이르면 내년부터 생산을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갈륨을 ‘중요 광물’로 분류하고 있는데 공급망 안정화 차원에서 이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이 상당하고, 생산된 갈륨을 일본 및 기타 국가들에 판매할 계획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일 간에는 ‘중요 광물 협정’(2023년 3월)도 체결돼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