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가 드론 117대로 러시아 폭격기 41대를 불태웠다고 주장하는‘거미줄’작전이 전쟁 판도를 바꿀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1일 국경에서 수천㎞ 떨어진 러시아 공군기지 4곳을 타격해 장거리 폭격기 41대에 불을 질렀으며, 이로 인해 기지에 배치됐던 순항미사일 전략폭격기의 34%가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측 피해 규모가 70억 달러(약 9조7000억 원)에 달한다고 추산했다. 단 러시아가 소수의 폭격기만 타격을 입었다고 주장하고 있고, 그간 우크라이나 상공에서 공습 임무를 수행한 폭격기가 몇 대였는지도 명확하지 않아 러시아 피해규모를 가늠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관심의 초점은 이번 작전이 전쟁의 변곡점이 될 수 있는지 여부다. CNN은 2일 성경 속 인물인 다윗과 골리앗에 각각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를 비유하면서 “우크라이나의 교활한 드론 공격은 러시아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전쟁의 서사를 바꿀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그것은 교활함이 거인을 압도하는 또 다른 지점을 보여준다”면서 “러시아의 주요 카드는 방대한 군사 자원과 최전방 인력, 고통에 대한 인내심, 재정적 여유인데 우크라이나는 반복적으로 의도적인 핀 찌르기가 이런 거품을 터뜨릴 수 있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이번 드론 공격이 예상치 못한 전술로 러시아를 충격에 빠뜨렸던 우크라이나의 크림대교(케르치해협대교)를 공습, 러시아 땅 쿠르스크 점령, 흑해 모스크바호 격침 등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이다.
CNN은 우크라이나가 군사적 열세 속에서 기술, 정보, 과감한 실행력을 결합해 전황을 역전시킬 방법을 계속 강화하고 있다는 점도 주목했다. 우크라이나가 2023년 공격용 드론을 처음 사용하기 시작해 전술을 고도화하면서 보병 자원이 압도적인 러시아를 상대로 만만치 않은 공격력을 유지했고, 흑해 함대 격침을 위해 해상드론까지 운용하는 등 발전을 거듭했다는 것이다.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우크라이나의 이번 기습 공격이 러시아의 글로벌 군사전략을 뒤흔들었다면서 광범위한 지정학적 변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공격으로 러시아의 장거리 폭격기 전력이 크게 손상되면서 우크라이나 등 이웃 국가와의 전쟁을 수행할 능력은 물론 미국처럼 멀리 떨어진 경쟁국을 위협할 역량도 약화했다는 것이다.
러시아 내부 동요도 만만치 않아 푸틴 대통령이 강도 높은 대응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최전선에서 4000㎞ 이상 떨어진 공군기지도 안전하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군사강국으로서의 자부심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 CNN은 러시아 입장에서 전쟁을 계속할 수 있다는 내부 인식이 흔들리는 것이 더 큰 문제라고 예측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