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 일 유감 … 바로잡을 때”

미국이 군사 지원을 중단한 4일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미국 측에 화해의 뜻을 전하며 포로 교환을 비롯해 공중 및 해상에서의 즉각적인 휴전까지도 할 수 있다는 의향을 밝혔다.

지난달 28일 양국 대통령의 회담이 충격적 파행으로 끝난 뒤 미국이 즉각 가한 강한 압박에 자세를 더 낮추고 긴급히 진화에 나선 모양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우리 가운데 누구도 끝없는 전쟁을 원하지 않는다"며 "우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리더십 아래에서 지속적인 평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전쟁을 끝내기 위해 신속히 일할 준비가 돼 있다"며 "1단계로는 포로 석방과 공중에서의 휴전, 즉 미사일·장거리 드론·에너지와 민간 인프라에 대한 공격 금지와 해상에서의 즉각적인 휴전을 즉시 시행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단 러시아도 이에 동의해야 한다"는 단서를 달았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그다음 우리는 모든 단계를 매우 빠르게 진행하고, 미국과 협력해 강력한 최종 합의를 도출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아울러 "우리는 미국이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독립을 유지하기 위해 지원한 것들을 정말 소중하게 생각한다"며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에 재블린(대전차 미사일)을 제공해 상황이 바뀌었음을 기억한다. 우리는 이에 감사드린다"고 강조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미국이 원하는 광물 협정에 대해서도 "우크라이나는 언제든 어떤 방식으로든 서명할 준비가 돼 있다"며 "우리는 이 협정을 더 큰 안보와 확실한 안보 보장을 향한 한 걸음으로 보고 있으며, 이 협정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길 진심으로 바란다"고 말했다.

미국은 우크라이나 지도자들이 '평화를 위한 성실한 약속'(a good-faith commitment to peace)을 입증했다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판단할 때까지 제공 중인 모든 군사원조를 중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미국의 원조가 중단되면 러시아의 탄도미사일을 막을 수 있는 미국의 패트리엇 방공망의 수리, 유지보수, 탄약 보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우크라이나 정부가 미국의 군사 원조 중단을 수습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것과 달리 내부에선 여론의 분노도 크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올렉산드르 메레즈크 우크라이나 의회 외교위원장은 로이터 통신에 "누가 봐도 이건 정말 안 좋은 상황"이라며 "이건 그(트럼프)가 우리에게 항복을 강요하는 것처럼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 원조를 중단하는 건 푸틴을 돕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