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은 지난 월요일 상·하원 합동회의에서 당선을 인증받으며 '트럼프 2기' 출범을 공식화했다. 그러면서 캐나다와 그린란드를 미국의 영토로 편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와 같은 트럼프의 영토 확장 야심은 수시로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당사자들에게는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닐 것이다. 총칼만 들지 않았을 뿐, 이 또한 영토 확장을 위한 전쟁의 논리이기 때문이다.

첫 번째 트럼프의 영토 편입 야심은 캐나다에서 드러났다. 트럼프는 "캐나다의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고 싶어 한다"고 지속적으로 조롱했다. 트럼프는 지난해 대선 승리 이후, 캐나다를 향해 무역 수지 불균형과 국경 보안 문제를 해소하자면서 모든 캐나다산 수입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이에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지난해 11월 트럼프의 플로리다주 팜비치 마러라고 리조트 자택까지 찾아갔지만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리고 트럼프가 당선증을 받은 지난 월요일, 트뤼도 총리는 사임했다. 트럼프는 트뤼도 총리 사임 직후에도 캐나다가 미국에 통합되면 관세는 없을 것이고, 세금은 내려갈 것이며, 지리적으로 둘러싸인 러시아와 중국의 위협에서 전적으로 안전해질 것이라며, 함께라면 위대한 나라가 될 것이라고 호언장담했다.

이 부분에서 필자는 캐나다 국민들이 반대 의사를 표명하지 않는 것이 의아했다. 캐나다는 전통적으로 외교와 정치에서 신중하고 차분한 접근을 선호하기 때문에, 트럼프의 발언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기보다는 웃어넘겼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캐나다는 경제적으로 미국과 깊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부와 국민들이 불필요한 긴장을 피하려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이에 정치 전문가들은 캐나다가 자국의 민주주의, 복지 제도, 다문화 정책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트럼프의 발언은 이를 흔들 수 있는 위협으로 보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두 번째는 덴마크의 그린란드이다. 트럼프 당선인은 덴마크의 그린란드에 대해 "그린란드 사람들이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를 지지한다"며, 그린란드가 미국의 일부가 되면 큰 혜택을 볼 것이라고 주장했다. 덴마크의 자치령인 그린란드는 1946년 미국이 덴마크로부터 1억 달러에 구매하는 방안을 추진했으나, 덴마크의 거부로 좌절되었고, 2019년 트럼프는 대통령 당시 이를 다시 제안했지만 덴마크 정부가 거절하여 무산됐다. 트럼프가 재집권을 앞두고 그린란드 구매 의사를 다시 밝히자, 그린란드는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린란드 총리는 "그린란드는 우리의 땅이며 결코 매각 대상이 아니다"고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덴마크 정부는 트럼프의 발언 이후 그린란드 방위비를 15억 달러 이상 늘리겠다고 계획을 밝혔고, 강경한 대응에 나섰다. 만약 미국이 그린란드를 영토로 편입하면 희토류, 원유, 천연가스, 우라늄 등 풍부한 자원과 미국의 첨단기술 및 에너지 산업에 전략적으로 중요한 자원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북극 전략의 요충지로서, 중국이 최근 그린란드에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며 영향력을 늘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세 번째로, 트럼프는 파나마 운하를 되찾고 싶어 한다. 트럼프는 당선 직후 파나마 정부가 미국에 과도한 운하 통행료를 부과하고 있으며, 중국이 파나마 운하를 운영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파나마 운하는 1904~1999년까지 미국의 통제 아래 있었기 때문에, 만약 이를 되찾는다면 과거의 역사적 유산을 회복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파나마 운하는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주요 해상 교역로로, 연간 수십만 척의 선박이 통과한다. 미국이 이를 다시 통제하면 글로벌 물류 흐름에 대한 강력한 영향력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몇 년 간 중국이 파나마와의 무역 관계를 강화하며 운하 주변에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고 있어, 트럼프가 이를 되찾으면 중국의 영향력을 견제할 수 있다. 이는 세계 해운 통제권을 회복하려는 의지이다.
 참고로 미국은 1867년 윌리엄 시워드 국무부 장관의 주도로 러시아로부터 알래스카를 720만 달러에 구매했고, 알래스카는 1959년 미국의 49번째 주로 승격됐다. 하와이 또한 본래 하와이 왕국이었으나, 1898년 미국이 '뉴랜즈 결의안'을 통해 공식적으로 병합하여 1959년 미국의 50번째 주로 승격된 바 있다.

트럼프 당선인의 이러한 외교적 도발에 가까운 발언에 대한 배경은 의견이 분분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트럼프 당선인의 캐나다,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와 관련된 영토 확장 발언은 그 자체로 상당한 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는 외교적 관례를 벗어난 발언으로, 당사국들의 반발을 사고 국제적 긴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트럼프 당선인의 캐나다, 그린란드, 파나마 운하와 관련된 발언은 단순한 영토 확장 야심이 아니라, 중국을 견제하려는 전략적 의도가 담긴 것으로 봐야 한다. 이는 미국이 경제적, 군사적, 외교적 주도권을 강화하고,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저지하려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와 일맥상통한다. 캐나다와의 통합은 북미에서 미국의 경제적 우위를 공고히 하고, 중국의 북극 항로 및 자원 접근 가능성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린란드는 북극 전략적 요충지로서 중국의 영향력을 차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파나마 운하의 재통제는 중국이 중남미에서 확대하는 경제적 영향력을 견제하고, 글로벌 물류의 핵심 통제권을 미국으로 되돌리려는 의지로 연결된다. 트럼프의 반복된 구매 제안은 이러한 자원과 위치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트럼프의 발언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지만, 이를 통해 미국이 중국과의 경쟁에서 자원과 전략적 요충지 확보에 얼마나 중점을 두고 있는지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접근법은 국제적 협력과 동맹국들의 신뢰를 해칠 위험이 있다. 미국은 좀더 신중한 접근법을 찾아야겠고, 이를 저지할 수 없는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트럼프의 의도를 분석하며 글로벌 질서에 미칠 영향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할 것이다.       <발행인 김현주>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