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다 보면 불필요한 과정이 요구될 때가 있다. 올 한해도 그랬다. 그럴 때마다 물론 귀찮고 싫다. 그러면서 ‘이런 과정이 없어도 잘할 수 있는데…’ 하는 잘난 척과 함께 오만에 빠지곤 한다.

처음 패러글라이딩을 시작했을 때였다. 내 소유의 캐누피와 하네스가 없어서 선배들 것을 눈치껏 빌려서 연습을 했다. 동호회만 가입하면 바로 멋지게 하늘을 날 것이라는 생각에 들떠 있었지만 비행을 시작하기까지는 멀고도 험난했다. 패러글라이딩 동호회장을 우린‘대장’이라고 불렀다. 마치 군대내의 서열처럼 대장의 말에는 무조건 복종하는 것이 이들 세계의 법이었다. 그런 하늘같은 대장이 필자에게 비행 전 6개월간의 지상훈련을 명했다. 패러글라이딩을 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달리기 연습’도  1개월이 지나서야 겨우 시작할 수 있었다. 펴진 캐누피를 다시 개고, 하네스에 연결될 조종 선을 가지런히 정리하는 선배들의 일부터 도왔다. 이 모든 과정은 다음 비행을 더 빨리, 보다 안전하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것이 웬만큼 손에 익자 지상에서 캐누피를 하늘에 띄우는 연습에 돌입했다. 바람을 등지고 하네스에 체중을 의지하며 캐누피를 띄워 공중에서 방향을 바꾸는 연습을 수 없이 했다. 비행 일정이 잡혀있는 주말마다 ‘오늘은 탈 수 있겠지’ 하는 생각으로 집을 나섰지만 이륙장은 구경도 못했고, 착륙장에 내리는 선배들에게 물만 건네주고 돌아오기를 몇달째 했다. 대장의 말대로 6개월이 지나서야 선배들 대열 꽁무니에 낄 수 있었다. 감격스런 첫 비행을 마치고 난 뒤 깨달았다. 그 동안 힘들었던 시간이야말로 비행을 위해 꼭 필요한 과정이었음을 말이다.

첫째 아이를 낳을 때가 기억난다. 많은 산모들이 순산하듯이 나도 별 탈 없이 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하지만 생각과는 달랐다. 양수가 터지고도 하루가 지났지만 아이가 나올 생각을 않자 병원 측에서는 결국 수술을 결정했다. 산모 체온이 104도가 넘자 산소호흡기를 가지고 왔다. 어떻게 수술실까지 갔는지도 기억이 가물가물하고, 아이의 얼굴도 보여준 듯 한데 기억이 나질 않는다. 힘들게 아이를 낳은 탓인지 한동안 정신적 안정을 찾지 못했다. 둘째 아이 때는 더 힘들었다. 임신 5개월부터 조산기 때문에 수술을 했고, 임신 내내 주의를 요했다. 무사히 수술을 마쳤다고 생각했는데, 수술실을 나오자마자 과다 출혈로 응급상황이 벌어졌고, 10여명이 넘는 의사들이 병실에 모이는 응급 상황까지 펼쳐졌다. 남편은 갓나온 둘째 아이를 안고 출입금지 된 병실 밖에서 발만 동동 굴렸다. 결혼 전 필자는 ‘능력 있으면 혼자 살아도 좋다, 무자식이 상팔자’ 라고 생각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래서 아이를 낳는다는 것 자체가 성공하는 여성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했던 적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다. 이런 생사를 넘나드는 고통과 아픔의 과정을 겪으면서 얻은 두 아이는, 이 세상의 모든 엄마가 그러하듯, 나의 보물들이다.

포커스 신문사를 시작하고 얼마되지 않아 한인사회에 큰 살인 사건이 발생해 기사화한 적이 있었다. 그리고 검찰로부터 그 살인사건과 관련한 증인으로 출두해 달라는 소환장을 받았다. 당시 가해자가 감옥에서 필자하고만 인터뷰를 하겠다고 고집을 부렸고, 할 수 없이 필자는 그와 여러 번 대화를 나누었기 때문이다. 담당 형사도 본지에 도움을 요청했다. 필자가 말하는 모든 문장에 귀 기울이고, 조사 하나라도 빠짐없이 기록하기 위해 애쓰는 형사를 보면서 사안의 중요성을 깨닫는 동시에, 너무 자잘한 것까지 지나치게 신경을 쓴다는 생각을 했었다. 그 뒤 검찰 측은 감옥에 있는 가해자와의 전화 인터뷰를 보도한 본지의 기사 내용에 대해 궁금해 했고 끈질기게 협조를 요청했다. 그러더니 급기야 증인으로 참석하기를 원했다. 여기까지는 좋았다. 하지만 재판 당일에 일찍 코트 룸에 가야 하고, 계속 연기되는 재판 일정 때문에 여간 번거롭지 않았다. 모든 스케줄이 계속 이 재판에 얽매여 있다는 생각에 불편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귀찮을 것 같았으면 차라리 사건을 다루지 말 것을’이라는 생각도 했다. 하지만 이것은 필자의 직업을 망각하는 자세이기에 마음을 고쳐먹기로 했다. 사건을 종결하는데 도움이 된다면, 이 귀찮은 증인요청도, 이 사건에서 벗어날 수 없는 가족들의 고통의 시간도, 지루한 재판 절차도 이번 재판에서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받아들였다.

골프 레슨을 시작할 때도 그 지루함은 역대급이다. 백스윙에서부터 피니쉬 자세까지 일주일이면 족히 배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백스윙에서 바닥까지 클럽을 끌고 내려오는 동작까지만 해도 한 달은 족히 걸린다. 레슨을 시작하면서 멋지고 시원하게 드라이브 샷을 날리는 상상을 수없이 했지만, 현실은 7번 아이언을 잡고 공을 똑바로 보내는 연습에만 반년 이상을 전념해야 한다. 이 지루한 연습과정 동안 우리는 코치와 수없이 싸운다. 진도 좀 빨리 나가달라고. 하지만 먼 훗날 우리는‘천천히, 꾸준히, 그리고 정확하게’라는 이 느림보 과정이 오랫동안 골프를 즐기면서 칠 수 있는 법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등고자비(登高自卑)라는 말이 있다. 높은 곳에 오르기 위해서는 낮은 곳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뜻이다. 성과를 내기 위해서 첫걸음부터 차근차근 밟아 나가야 한다. 돌이켜보면, 필자도 올 한해 마치 조급증에 걸린 듯 결과만 좇아 달려온 것들이 많았다. 그래서 다가오는 새해에는 지루한 과정의 쓴 맛도 기꺼이 즐겨보겠다는 다짐을 해본다.              
<편집국장 김현주>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