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탈리아 정부가 조개 양식장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외래종 게인 '푸른 꽃게(블루크랩)'의 확산을 막기 위해 비상대책위원장을 임명했다. 6일(현지시간) 안사(ANSA), AFP 통신에 따르면 프란체스코 롤로브리지다 농업부 장관은 이날 로마에 있는 총리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엔리코 카테리노를 푸른 꽃게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임명한다고 발표했다. 이탈리아 동북부 로비고·라벤나현에서 차례로 현감을 지낸 카테리노 위원장의 임기는 2026년까지다. 그는 푸른 꽃게 확산 방지 계획 수립을 위해 1천만유로(약 150억원)를 사용할 수 있다고 안사 통신은 전했다. 최근 수년간 대서양 연안에서 지중해로 유입된 푸른 꽃게는 이탈리아인들이 즐겨 먹는 봉골레 파스타에 들어가는 모시조개를 비롯해 홍합, 굴을 닥치는 대로 먹어 치우는 바람에 현지 양식업자들을 폐업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2021년 통계에 따르면 이탈리아는 유럽 최대 조개 생산국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중국, 한국에 이어 세 번째다. 최대 농어민협회인 콜디레티는 푸른 꽃게가 이탈리아 동북부 베네토주와 에밀리아로마냐주에서 지금까지 약 1억유로의 피해를 줬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해 조개 양식업자들을 지원하기 위해 약 290만유로(약 44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정부도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푸른 꽃게의 천적이 없어 뾰족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푸른 꽃게가 주로 이탈리아 동북부 지역 경제에 피해를 줬지만, 최근 바다 평균 수온 상승으로 인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할 조짐을 보여 비상이 걸렸다. 이에 정부는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고 행정가 출신인 카테리노를 위원장으로 임명했지만, 급조된 위원회가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는 푸른 꽃게 확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조처가 가능한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