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성 재정전문가

    오늘은 퍼온 글을 올리겠습니다. 미주 한인들 사이트에 약 15년 전인 2010 년에 New York 에  20 대 젊은 분이 (지금은 벌써 40대 초중반) 본인의 은퇴 계획에 대해 올리신 글입니다.  퍼온 글 : Workingus.com, Feb.25,2010

“요즘은 90까지 사는 사람들도 많아서 어지간히 돈을 모아놓거나 유산을 받지 않으면 정말 노후대책이 힘들 것 같습니다(60살 은퇴, 90살까지 산다고 가정했을 때). 저는 지금 20대 후반이고, 곧 결혼을 앞두고 있고, 약혼자와 노후 대책에 관해 아주 구체적인 계획을 같이 논의하는 중입니다. 잘한것중 하나는 여태껏 몇년간 401K 와 Roth IRA를 맥시멈으로 넣어 놓은 것이고 약혼을 하고나서도 둘이 은퇴할때까지는 쭉 맥시멈으로 이 돈은 없는 셈치고 붓기로 약속했습니다. 
1. 401K는 아직 둘다 20대이니 위험부담을 안더라도 그 안에서도 좀 Aggressive한 펀드종목도 몇게 넣어 두었습니다. 그럼 예를들어 26살부터 60살까지 35년을 둘이서 맥시멈 ($16,500 per year*2명=$33,000) 으로 붓는다고 했을때 60에는 현재가치로 $5,686,454 달러가 모인다고 나옵니다. (35년, 매해 $33K 예금, 평균8% 수익률 가정) 물론 수익률에 따라 변동이 있을 것이고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지 않았기 때문에 현재가치로 5.6밀리언이 모입니다. 나중에 세금을 떼고 받는 돈. 
2. Roth IRA - NYC 살기때문에 City tax 까지 떼고 Roth IRA에 넣는게 pre tax 인 일반 IRA 넣는것과 얼마나 차이가 비교를 해보지 않았습니다. 저는 일반 IRA가 더 세금 절약이 된다고 생각 했는데 (지금은 city tax 까지 내는데 , 은퇴후 세금 덜 내는 주에서 한다는 가정하에) Roth IRA에 투자하는 주식은 dividend가 많이 나오는 종목으로 몰아서 투자해 capital gain에 세금이 안붙는 Roth IRA로 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것도 일년에 5000불이 맥시멈으로 넣는데 둘이서 일년에 만불을 부으니까 60살에는 $1,342,153 가 모인다는 계산이 나오네요. (32년, 평균 8% 수익률 가정) 401K와 마찬가지로 인플레에션을 반영하지 않아서 현재가치로 $1.3M , 세금을 뗀 돈이라 나중에 그냥 캐쉬로 찾을 수 있는 돈.  저희 둘은 매년 없는 셈치고 60살까지 붓기로 했습니다. 따로 세이빙과 주식 구자에 만약을 대비해서 캐쉬도 몇만불 모아 , 집도 투자로(집값 바닥 쳤을때 산거) 하나 있어서 모기지 조금 들어 갑니다. 나머지 세이빙으로는 싸게 괜찮은거 나오면 투자용으로 사서 렌트주면 30년 후에 우리가 60이 되면 모기지 다 값고 나오는 렌트가 순 수익이 될테니 괜찮은 집 물색 중입니다. 노후대책이라는 토픽으로 서로의 아이디어를 논의해 보는것도 좋은 것 같습니다.”

  미래의 가족에 대한 책임감과 준비성에 그저 놀랄 뿐입니다.  20대 임에도 Professional에 준하는 지식을 가지신 것 으로 보입니다.
1. Retirement Planning 관점: IRA/ROTH IRA 그리고 401k 까지 모두 Maximum으로 불입하는 것으로 보아 여력이 되면 Nondeductible IRA Contribution을 통해 Back Door ROTH IRA 나 Mega Back Door ROTH IRA를 이용해 은퇴구좌 세금 혜택을 극대화.
2. Social Security planning 관점: 불입금액 으로 볼 때 은퇴 후 사회보장 연금액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입.  은퇴계획에 배분을 권유. 은퇴 후의 삶도 중요하지만 현재의 삶도 균형있게 고려
3. Investment Planning 관점
1) Risk Hedging:  젊더라도  Aggressive Fund 에만 집중하시는 것은 추천할만 하지 않음.  국채 등이 포함된 Conservative Fund등도 Risk Hedging 으로 배분. Intra- Fund 뿐 아니라 Inter- Fund의 Portfolio 도 고려.
2) 투자 구좌 배분: 현금 유동성 (Liquidity) 에 제약이 있는  Retirement Account 에만 투자를 집중하면 낭패. 세금 혜택이 없더라도 유동성과 투자면 에서 효과를 내고 추후에 Booster 효과를 내는 Brokerage Account를 동시 운영. 
4. Insurance Planning 관점: 보험없이는 재정 계획도 한 순간에 물거품이 되거나 회복하기 어려운 손상. 보험은 재정 계획의 필수. 변동성 보험(Variable Insurance) 와 변동성 연금(Variable Annuity ) 은 본인이 선택 가능한 투자 상품과 연동되어 보험, 연금 그리고 투자 세제상의 혜택도 누릴 수 있는 젊은 분들에게 적합한 상품. (은퇴 연령의 분들은 확정성 보험추천)
5. Health Care Planning 관점
6. Estate Planning 관점: Living Trust 를 포함한 상속계획. 주류 사회의 경우 평균 45세에 상속계획 시작.  
7.Tax Planning 관점: 위의 6가지Planning모두 Tax Planning (Tax Advising)과 반드시 연동 시행해야 세금으로 인한 손실을 최소화. 세무사혹은 회계사와 상의 필수 .  
8. Financial Planning 관점 (연관성 , nterconnectivity)과 풍선 효과 (Balloon Effect): 각 요소의 개별접근은 풍선효과 (한 요소 에서 이익이 되지만, 다른 요소에 좋지 않은 영향)로 전체효과가 감소. 전체를 보는 전문가와 상담권유.
 

콜로라도의 젊으신 분들도 위의 분처럼 돈을 버는것과 동시에 돈이 본인을 위해 일하도록 (Money Work For You) 설계하시길 권합니다. 참고로 개인적으로 너무 멋지게 생각하는 California 의 젊은 한인 John Chung (CPA and Attorney) 의 재정 YouTube를 적극 추천합니다. 단 주의 하실 것은 적용되는 주법이 다르다는 점, 녹화시점의 관련법과 현재 적용시점이 다르기 때문에 참고하길 바랍니다.

✽정보전달과 공유가 목적이고 투자 조언이 아니며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연락처 : 이메일 Bon@frontrangefinancial.com 720-934-6926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