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기는 리더십이 역할 … 한인 청년들 도전해 지평 넓히길
LA 시의원 15명은 연간 130억 달러(2023년 기준)의 살림 비용을 결정하고 감독한다. 또 지역구별로 평균 26만여 지역 주민들을 돌보고 민원을 해결해야 하며 연간 300개가 넘는 조례안과 결의안을 생산한다. 막강한 권력을 가진 LA시의원들의 최측근 참모는 비서실장(Chief of Staff)이다. LA시의회 복심으로 통하는 15명의 비서실장중 한인이 3명이라는 걸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게다가 모두 여성이다.‘한인 여성 비서실장 트리오’로 맹활약중인 이들은 시의회 최고참인 22년차 보좌관 지니 민(15지구) 실장을 선두로 20년차 해나 리(12지구) 실장, 8년차 조앤 김(8지구) 실장이다. UC버클리 언론학을 전공한 민 실장은 고 톰 라본지 의원, 미치 오페럴 의원에 이어 지난해 맥오스커 의원실로 옮겨 실장 역을 하고 있다. 리 실장은 UCLA 토지 사용 계획 전공을 하며 꿈꿨던 변호사 꿈을 접고 12지구 그렉 스미스 의원 시절부터 20년 동안 스태프로 일한 ‘밸리 토박이’다. 올해 초 비서실장에 오른 김 실장은 시카고에서 태어나 LA로 이주했고 UCLA 경제 학사, 보건 석사 학위를 받았다. 꿈은 보건 클리닉 여는 것이었는데 사우스 LA ‘커뮤니티 코얼리션(CC)’에서 자원봉사하다 뿌리를 내렸다. 리 실장은 “학교 때 커뮤니티 봉사, 장애인 돕는 일들을 하면서 배웠다. 동시에 간호사 어머니를 보면서 함께 자원봉사 통해서 자연스럽게 하게 됐다. 항상 ‘뭔가를 하고 있어야 한다’는 부담감이 존재했다”고 전했다.
민 실장은 학생회와 한미연합회를 거친 ‘한인 커뮤니티통’이다. 월넛고교 한인학생회 재무담당을 맡아 공공봉사에 대해서 체험하고 ‘받은 혜택을 돌려주는 것’에 대해서도 알게 됐다는 설명이 이어진다. 그는 “너싱홈, 교회 활동을 통해서 배웠고 한미연합회 등에서 활동하며 한인타운, 윌셔 주민의회 등 생성 과정도 지켜봤다”고 회고했다. 김 실장은 자신이 시의회에 와서 활동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OC의 매우 보수적인 환경에서 자라면서 그것이 옳은 접근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그는 “전통적으로 한인 가정에서는 여성과 엄마가 많은 일을 하게 되어있다. 교회에서 자라 할아버지 두 분이 모두 목사로 활동하셨고. 혼자 자신을 위해 시간을 보내는 것이 이상할 정도의 가정환경이었다. 장녀이다 보니 두 동생을 위해서 이런저런 리더 역할을 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시의회와 지역구 사무실까지 총 20명이 넘는 직원들을 이끌어야 한다. 진정한 리더십은 이들에게 어떤 개념일까. 세 명 모두 ‘동기 부여’ ‘설득력’ ‘행동의 모범’ ‘명예’ ‘협력’을 핵심 요소로 꼽았다. 특히 김 실장은 “중심에는 섬김의 리더십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