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국어 넘나드는 언어와 음악의 향연 펼쳐

   

지난 10월 8일 토요일 저녁 7시에 베타니 루터란 교회에서 소프라노 이지민씨가 오랜만에 단독 리사이틀을 열어 참석한 관객들의 심금을 울렸다.
지난 10월 8일 토요일 저녁 7시에 베타니 루터란 교회에서 소프라노 이지민씨가 오랜만에 단독 리사이틀을 열어 참석한 관객들의 심금을 울렸다.

 

     소프라노 이지민씨가 오랜만에 단독 리사이틀을 열었다. 지난 10월 8일 토요일 저녁 7시에 베타니 루터란 교회에서 열린 리사이틀에서 이지민씨는 스페인어, 프랑스어, 한국어, 체코어, 독일어 등 무려 5개국어의 다양한 노래들을 소화해내며 빼어난 기량을 자랑했다. 스페인의 작곡가 호아킨 로드리고의 스페인어 작품 <4개의 사랑의 마드리갈(Cuanto Madrigales Amatorios)> 4곡을 연달아 부른 후, 헝가리의 작곡가 프란츠 리스트가 빅토르 휴고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된 4개의 멜로디를 프랑스어로 열창했다. 짧은 중간 휴식을 마친 후 이번에는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 아리랑을 새로운 색채와 화성, 구조로 편곡한 ‘아라리요’, 김효근이 작시와 작곡을 한 연가곡 ‘첫사랑’, 그리고 현재 콜로라도 한인합창단 지휘자인 김태현씨가 오래전에 각설이 품바를 테마로 작곡한 ‘품바’ 등 한국어 작품 3곡이 연이어 연주되었다. 이후 체코의 작곡가 안토닌 드보르작이 작곡가 오페라 <루살카(Rusalka)> 중 달의 노래(Mesicku na nebi hlubokem) 을 체코어로 노래했으며, 마지막으로 오스트리아와 헝가리의 작곡가인 프란츠 레하르의 오페라 <쥬디타(Giuditta)> 가운데 불처럼 뜨거운 내 입술의 키스(Meine Lippen, sie kussen so heiß)를 독일어로 불렀다.


     준비한 프로그램의 곡들이 끝난 후 관객들은 앙코르를 연호했으며, 이지민씨는 다시 나와 한나형의 ‘여정’을 불렀다. 앙코르 송이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관객들은 이지민씨의 노래를 다시 한번 들을 수 있지 않을까 하며 한동안 자리를 지키고 있을 정도로 콜로라도 한인 커뮤니티의 대표 소프라노 이지민에 대한 애정은 매우 높았다. 이지민씨는 공연이 끝나고 “바쁘신 와중에도 많은 분들이 제 리사이틀을 보러 와주셔서 너무 감사드린다. 연습하느라 많이 힘들었지만, 지난 30년간 꾸준히 노래를 부를 수 있었음에 감사하고, 여기 이 자리까지 나를 인도해주신 하나님께 모든 영광을 돌리고 싶다”고 밝혔다. 이지민씨는 한국의 영남대학교 졸업 후 대구시립합창단 상임단원을 역임했으며,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에서 보컬 교수법을 포함, 탄탄한 성악 기량을 수학했으며, 2007년 독일의 림버그와 프랑크푸르트에서 프랑크푸르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불가리아 소피아 필하모니 오케스트라와 오페라 갈라를 통해 협연하기도 했다. 또 UNC에서 실기 장학생으로 석사 과정을 지내는 동안, NATS (National Association of Teachers of Singing) 콩쿠르2위 입상을 하였으며 2018년에는 오페라 포트 콜린스에서 푸치니의 오페라 <나비 부인>의 주인공인 쵸쵸상을 맡아 열연하기도 했다. 이밖에도 그녀는 헨델의 메시아와 베토벤의 판타지 C 단조를 비롯 바흐, 모차르트의 주요 합창 레퍼토리 등에서 폭넓게 활동해오고 있다. 이지민씨의 리사이틀의 피아노 연주 어컴퍼니스트로는 메트로폴리탄 주립대학에서 음악연주를 전공하고, 콜로라도 대학 볼더 캠퍼스에서 합작음악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후 현재는 개인 스튜디오와 교회에서 피아노 연주를 전담하고 있는 윤혜미씨가 담당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