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칼럼들을 통해 체질이란 무엇인지 또 왜 체질은 8가지로 나뉘어 지는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그렇다면, 이 8가지 체질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 보고자 한다. 각각 체질의 특징들을 알아 보는 것은 8가지 체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독자가 단지 흥미로 읽어 주기를 바라는 것이지 독자 스스로 체질 진단을 하는 것을 돕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사실, 필자가 이 칼럼을 쓰면서 가장 염려 하는 부분이 독자들이 체질 특징들을 비교 하여 체질을 자가 진단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지만 체질의 진단은 반드시 손목의 맥진에 의해서만 정확히 진단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권도원 박사의 발표를 기초로 체질별 특징들을 살펴 보고자 한다. 이 특징들은 각 체질의 대표적인 성향을 얘기 하는 것이지 절대적인 것은 아님을 다시 한번 강조 한다.
먼저, 태어나면서 간이 크고 강한 반면 폐기능이 약하고 작게 태어난 체질이 있으니 이 체질이 목양체질이다. 폐기능이 약하게 태어 나서 호흡이 짧아 노래를 못하는 음치가 많다. 이 목양 체질은 몸집이 비교적 둥글고 허리가 발달되어 배가 많이 나오는 사람이 많다. 성격은 점잖고 말이 적은 사람이 많다. 이는 폐가 작게 태 어나서 말을 많이 하면 쉽게 피곤해 지기 때문이다. 목양체질은 본태성 고혈압 진단을 많이 받는데 목양체질은 혈압이 조금 높아야 건강한 상태이다. 목양체질은 간이 강하게 태어 났기 때문에 포도당은 주의 해야 한다. 포도당은 순간적으로 간기능을 활발히 해 주기때문이다. 선천적으로 간기능이 활발한 목양체질은 간기능을 억제 할 수 있는 육식을 하는 것이 건강의 비결이다. 이는 육식을 함으로서 담즙의 분비를 촉진하여 간기능을 억제하는 효과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잎채소에는 포도당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잎채소 보다 뿌리채소인 감자, 당근, 양파, 연근 등을 먹는 것이 좋다. 임상에서도 콜레스테롤이 높은 목양체질이 침치료와 육식위주의 식사로 정상치의 콜레스테롤로 돌아온 경우를 수번을 경험하였다.이렇듯 목양체질에 있어 육식은 매우 중요한 건강 수칙이다.
목음체질은 선천적으로 대장이 약하게 태어났으며 상대적으로 담낭이 강하게 태어난 체질이다. 이 체질은 대장이 약하고 짧아 음식을 먹고 바로 화장실에 가는 경우가 빈번하며 하루에도 몇번이고 대변을 보기도 한다. 이 것은 대장이 짧아 일어나는 자연적 현상으로 건강에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다. 또 하나의 특징은 배꼽주변이 유난히 다른 부위에 비해 찬경우가 많다. 목음체질은 비교적 다정 다감한 성격이 많아 남이 섭섭한 소리를 하면 잘 잊지를 못하는 경우가 많다. 몸이 항상 차고 잠이 안오는 때가 많다.이 목음체질도 목양체질과 음식의 섭생은 매우 흡사하다. 육식위주의 식사와 해산물을 삼가 하는 것이 건강 수칙이다. 특히, 목음체질은 술이 매우 안좋다. 목음체질은 쉽게 알코올 중독 상태가 될 수 있으므로 주의 해야 한다. 목양, 목음 두체질 모두 포도주는 매우 안 좋다. 목음체질은 항상 배꼽주변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 배에다 따뜻한 물주머니나 뜸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목양, 목음 체질 모두 냉수마찰 같은 것은 해가 되며 따뜻한 목욕이 도움이 된다.두체질 모두 금(金)이 좋은데 이는 폐기능을 도와 주기 때문이다.
토양체질은 신장 기능이 약한 반면 췌장기능이 선천적으로 강하게 태어난 체질이다. 토양체질의 특징은 성격이 매우 급하다는 것인데 성격은 환경과 교육으로 어느정도 바뀔 수도 있음을 말해둔다. 부지런하고 센스가 빠르며 일을 많이 만드는 대신 일처리는 잘 하지 못하는 체질이다. 호기심도 많고 사교성과 봉사 정신이 강한 편이지만 뒷마무리가 미흡하다.이 토양체질은 독신자가 많고 미술가가 많다. 또한 신장이 약하게 태어 났기 때문에 불임이 될 확률도 다른 체질에 비해 높은 편이다. 이 토양체질은 인삼이 독이라 할 수 있다. 토양체질이 인삼을 상복한다면 반드시 탈이 생길 확률이 높으며 눈이 많이 나빠 질 수 있다. 토양체질은 특별히 닭고기, 매운 음식, 술을 금해야 한다.
토음체질은 매우 희귀한 체질이다. 십만명의 하나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드문 체질이다. 이 체질은 폐니실린 주사 중독이 있어 매우 위험하다. 폐니실린이 처음나왔을때 엄청난 사회적 파장이 일어났지만 이 폐니실린이 일부에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켜 국제적으로 금지 약물이 된 것도 이 토음체질의 폐니실린 부작용 때문이다. <다음호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