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 좀 맞춥시다>
    
       제가 즐겨 읽는 책 중에 켄가이어가 쓴 ‘묵상의 삶’에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 멕시코시티의 대형시장 그늘진 한구석에 ‘포타라모’라는 인디언 노인이 있었는데 그 노인 앞에는 양파 스무줄이 걸려 있었습니다. 시카고에서 온 미국인 한 명이 다가와 물었습니다.“ 양파 한 줄에 얼마입니까?”“10센트라오” 포타라모는 말했습니다. “두 줄에는 얼마입니까?” “20센트죠”“세 줄에는요?”“30센트입니다” 그러자 미국인 말합니다.“별로 깎아 주는 게 없군요. 그러면 스무 줄 다 사면 얼맙니까?” 그러자 그 인디언은 “스무 줄을 다 팔 수는 없습니다” 라고 대답했습니다. “왜 못파신다는 것이죠? 당신은 양파를 팔려고 나온 것이 아닙니까?”하고 미국인이
물었습니다. 그러자 이노인은 대답합니다. “아니오. 나는 지금 인생을 살러 나온 것입니다. 나는 이시장을 사랑합니다. 북적대는 사람을 사랑하고 서라파(멕시코의상)를 사랑하고 햇빛을 사랑하며 흔들리는 종려나무를 사랑합니다. 페드로와루이스가 다가와 인사를 하고... 친구들을 보는 것을 사랑합니다. 이것이 내 삶입니다. 바로 그걸 위해 하루 종일 여기 앉아 양파 스무 줄을 파는 것인데 한 사람한테 다 팔면 내 하루는 그것으로 끝이란 말입니다.” 돈벌이나 경제적인 효율성과 수익성에 맞추어 사는 삶이 아니라 이웃과 눈을 맞추며 더불어 살아가는 것을 중시 여기는 사람의 이야기입니다.

      이 글을 읽다가 지난 시간을 돌아보면 뭔지 모를 찜찜함이 느껴집니다. 열심히 살아오긴 했는데 모두 다 해치운 느낌입니다. 주어진 사역의 책임을 어느 정도 감당하긴 했는데 그 과정에서 눈을 맞추며 미소도 지어야 했고 마음을 맞추며 그 자리에서 잔잔한 감동도 더 많이 느꼈어야 했는데 주어진 일들을 끝내기는 한 것 같은데 여전히 빨리 빨리 해치운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더군다나 한번도 내게 눈을 떼지 않으시고 바라보신 주님과 눈을 좀 더 맞추지 못한 아쉬움이 많습니다. 주변의 이웃과 사랑하는 벗들과 눈과 마음과 손을 좀 더 맞추지 못한 아쉬움 또한 큽니다. 2019년 새로운 한 해를 주님으로부터 성찬을 받듯이 받아 들었습니다. 이 새해에는 주님과 눈을 맞추며 섬김을 통해 이웃과 마음을 맞추며 살 수 있는 한 해가 되기를 소망해 봅니다.

     <계영배>   

      한국의 유명한 소설가인 최인호씨가 쓴 상도(商道)라는 소설이 있습니다. 조선 후기의 거상이었던 임상옥을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인데 이익을 위해 사는 상인이 아닌 의를 위해 사는 상인의 도를 그린 소설입니다. 소설 내용은 계영배(戒盈盃)라는 작은 술잔의 비밀을 추적하면서 이루어지는 내용입니다. 계영배라는 술잔 안에 쓰여진 글이 있는데 그 내용은 "계영기원 즉 가득채움을 경계하라"는 뜻의 글이 있었습니다. 계영배라 불리우는 이 잔은 술을 가득 부으면 술이 천천히 다 사라지게 되고 2/3정도만 부으면 그대로 남아있는 그런 특별한 잔이었습니다. 의를 위해 사는 상인으로써의 삶이 가능했던 것은 바로 이 계영배의 교훈을 지켜갈수 있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욕망의 잔은 가지면 가질수록, 채우면 채울수록 계영배의 잔이 가득 채워질 때 빠져 나가듯 계속 빠져 나갑니다. 그래서 더 목마를 수 밖에 없는 것입니다.

      한 한국의 TV 방송에 하루에 딱 국수 100그릇만 파는 부부가 출연했습니다. 하루 매출은 4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 새벽 5시에 일어나 딱 100인분의 육수와 국수를 준비하고 그 날 준비한 국수 100그릇만 팔면 문을 닫습니다. 남자MC가 국수를 200인분으로 늘려 팔면 더 많은 돈을 벌수 있지 않느냐고 하자 돈은 벌려고 달려들면 오히려 도망간다며 100그릇의 행복을 말합니다. 이 국수집 부부는 한 때 부산에서 가장 큰 식당을 운영했답니다. 100억원의 자산가로 종업원 150명까지 있던 큰 부자였던 겁니다. 하지만 사업에 실패하고 갖고 있는 돈으로 겨우 할 수 있었던 것이 국수집이었다고 합니다.

      큰 식당을 할 때는 하루 매출이 2700만원 이상 돼야 운영이 됐는데 하루 2700만원 이상 매출을 올리는 날은 1년에 겨우 7일 정도랍니다. 그래서 1년에 7일만 웃을 수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지금 국수집은 40만원 매출만 올리면 되기에 매일 행복하다고 합니다. 누구나 한번쯤은 타보았을 욕망이란 이름의 전차를 멈추기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닌 듯 싶습니다. 그래서 적절한 지점에서 멈출 수 있는 절제와 나눔과 포기야말로 이익을 추구하는 장사꾼이 아니라 의를 이루는 장사꾼이라는 내용을 소설에 담고 있습니다. 이글을 읽고 나서 나 또한 목회의 도를 이루기 위해 그 계영배란 잔을 하나 구해 가슴에 품고 다니고 싶은 맘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우리에겐 이미 십자가란 귀한 계영배가 있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사랑과 나눔과 포기의 가르침을 피를 묻혀 가르쳐 주고 있는 이 귀한 십자가의 도가 바로 우리의 품에 있어야 할 계영배가 아닐까요?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