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에 가석방 없는 종신형

         자기 아들을 '찜통 차'에 방치해 살해한 비정한 아버지가 살아서는 교도소 바깥에 나오지 못할 전망이다. 조지아 주 코브 카운티 지방법원 메리 스테일리 클라크 판사는 2014년 6월, 22개월 된 아들 쿠퍼를 찜통 차에 둬 고의로 살해한 죄로 기소된 쿠퍼의 아버지 저스틴 로스 해리스(36)에게 5일 가석방 없는 종신형과 함께 징역 32년형을 추가로 선고했다. 해리스는 계획 살인, 두 건의 중죄 모살(계획 살인) 등 총 8건의 혐의로 기소됐다. 조지아 주 법원은 계획 살인과 중죄 모살 유죄 인정자에게 강제적 종신형을 선고한다. 해리스의 변호인단은 의뢰인이 아침에 쿠퍼를 보육원에 데려다주는 것을 깜빡 잊어 발생한 우발적인 비극이라고 주장했다. 쿠퍼는 조지아 주 애틀랜타의 한 주차장에서 32℃에 육박하는 차 안에 7시간가량 갇혔다가 결국 열사병으로 숨졌다. 검찰은 해리스가 주변 인물들과 나눈 대화를 토대로 순탄치 못한 결혼생활을 하던 피고가 아이 없는 삶과 가족으로부터 해방을 위해 의도적으로 아들을 죽였다고 주장했다. 해리스는 또 결혼한 아내를 제쳐놓고 온라인 채팅으로 만난 다수의 윤락여성, 10대 소녀와 성관계를 한 것으로 드러났다. 배심원단은 검찰이 해리스에게 적용한 8가지 혐의를 모두 유죄로 인정했다. 스테일리 클라크 판사는 종신형 선고와 함께 해리스의 아동 학대 혐의에 20년, 미성년자 성 착취 혐의에 10년, 미성년자에게 음란한 사진과 메시지를 보낸 두 건의 혐의에 2년 등 총 32년의 징역형을 추가로 선고했다. 검찰은 해리스에게 사형 구형을 고려하지 않았다면서 판사의 선고 형량이 적절하다는 평을 내놓았다. 해리스의 변호인단은 30일 내 항소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승무원이 차 엎질러 화상”
한인여성, 대한항공 소송

           인천을 출발해 뉴욕으로 오던 대한항공 여객기에 탑승했던 한인 여성이 승무원의 실수로 쏟은 뜨거운 차에 화상 피해를 입었다며 50만달러 이상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뉴욕주 연방동부법원에 지난 달 23일 제출된 소장에 따르면 뉴저지주 포트리 거주 한인 김모씨는 지난 2014년 11월27일 인천에서 뉴욕 JFK 공항으로 향하던 대한항공 082편 여객기 내에서 당시 차를 서빙하던 승무원이 좌석에 앉아 있던 자신의 허벅지 부위에 실수로 차를 쏟았다고 주장했다.

28만달러 뜯은
20대 한인‘꽃뱀’

          20대 한인 여성이 속칭 ‘꽃뱀’ 행각을 벌이면서 7명의 남성들로부터 28만여달러가 넘는 돈을 갈취한 혐의로 체포돼 기소됐다. 연방 검찰에 따르면 시애틀 지역 한인 여성 염모(25)씨는 온라인 데이트 사이트를 통해 변호사, 의사, 사업가, 자산관리 매니저 등 남성들을 만나 성관계를 가진 뒤 이를 공개하겠다고 위협해 돈을 뜯어내는 수법으로 꽃뱀 행각을 벌이다가 시애틀 경찰국과 연방수사국(FBI)의 함정수사 끝에 체포돼 4건의 갈취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 기소장에 따르면 그동안 염씨에게 당한 남성은 7명으로 집계됐으나 피해자가 더 있을 것으로 추정되며, 이들 7명 가운데 가장 큰 피해자는 캘리포니아 남성으로 2년간 매월 1만 달러씩 모두 24만 달러를 그녀에게 보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남성은 지난 2014년 중반 온라인 데이트 웹사이트를 통해 염씨를 만나 캘리포니아에서 성관계를 가졌다. 이후 염씨는 “나와 관계를 가진 것을 당신 부인과 가족들에게 알리겠다”고 협박한 뒤 입을 다무는 조건으로 아파트세 등 생활비를 매달 1만 달러씩 요구했다. 이 남성이 염씨에게 24만 달러를 준 사실은 FBI가 그가 연루된 다른 사기 사건을 수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뉴욕서 '지카 뇌손상'
신생아 5명으로 증가


         뉴욕에서 지난 7월 이후 지카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뇌손상을 갖고 태어난 신생아가 5명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뉴욕 시 보건당국은 지난 7월 뉴욕시의 한 병원에서 지카 바이러스 감염 산모가 소두증 아기를 낳은 첫 사례가 보고된 후 이날까지 최소 4명의 신생아가 추가로 지카 바이러스와 관련된 뇌발달 장애를 갖고 태어났다고 7일 밝혔다. 또 다른 8명의 신생아도 지카 바이러스에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소두증의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당국은 설명했다. 그러나 지카 바이러스는 이들에게 뇌와 눈의 기형, 근육과 힘줄의 수축, 신경장애 등 앞으로의 발달상의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뉴욕에서는 현재까지 8천 명의 시민이 지카 바이러스 검사를 받았고 12% 정도인 962명이 양성 반응을 보였다. 이중 임신부는 325명이었다. 감염자의 대부분은 여행 지역에서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지만, 6명은 지카 창궐지역을 여행한 사람과의 성관계로 감염된 사례였다. 신생아의 소두증과 뇌 질환을 유발하고 성인의 뇌 질환에도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진 지카 바이러스는 이집트 숲모기와 흰줄 숲모기에 물려 주로 감염된다. 1차 감염자와의 성관계로도 2차 감염이 이뤄진다. 뉴욕시 보건국장인 매시 바세트 박사는 "지카 바이러스는 여성과 아기들을 지금도 끊임없이 위협하고 있다"면서 위험군 임산부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의료진에게 요청했다.

USC 교수 살해범은
제자로 밝혀져

        지난 2일 USC 캠퍼스에서 발생한교수 흉기 살해사건 피해자와 용의자의 신원이 공개됐다. 4일 LAPD에 따르면 이번 사건의 피해자는 중국계 보스코 잔(50) 심리학과 교수이며 잔 교수를칼로 찔러 살해한 용의자는 잔 교수의 실험실 제자였던 대학원생 데이빗 조나난 브라운(28)으로 밝혀졌다. 브라운은 사건발생 직후 현장에서체포돼 1급 살인혐의로 입건됐으며100만달러의 보석금이 책정됐다. 경찰은 지난 2일 오후 4시30분께신고를 받고 USC 캠퍼스 실리 G. 머드 빌딩에 출동,가슴을 칼에 찔려 사망한 잔 교수의 시신을 발견했다. 용의자브라운이 왜 잔교수를 살해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잔 교수가 운영해온 실험실에서 연구를 해온 한인 신길호씨는“ 사망한 잔 교수는 브라운을 마음에 들어 했으며 브라운도 잔 교수에 대해 특별한 불만이 없었던 걸로 알고 있다”며 충격을감추지 못했다. 잔 교수는 중국 베이징 태생으로홍콩에서 성장했다. 10대 때 도미한그는 2001년부터 USC에서 교수로 근무해왔으며 학생 및 동료들 사이에서평판이 좋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금품 뺏고도 폭행한 강도단
피해자 기절할 때까지 때려

        지난 4일 자정이 막 지난 심야에 코스타메사의 플라센티아 애비뉴 1800블록을 걸어가던 남성이 5명의 강도에게 폭행을 당해 중상을 입었다. 코스타메사 경찰국에 따르면 검정색 세단이 피해자 곁에 멈췄고 차 안에 있던 5명의 남성이 피해자에게 금품을 요구했다. 강도들은 피해자가 셀폰과 지갑을 건네줬음에도 차에서 내려 피해자가 기절할 때까지 폭행했다. 나중에 행인에 의해 호그 병원으로 옮겨진 피해자는 턱에 금이 갔으며 온몸에 타박상을 입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