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잘했지만 한 방이 없어" "트럼프 기사회생, 파국 면했다"
클린턴 '잘했다' 57%…트럼프 34%
토론은 힐러리 클린턴이 잘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는 기사회생했다. 대선 2차 TV 토론이 끝난 뒤 언론들이 내놓은 평가다. 이날 TV 토론의 최대 관심사는 근 20년간의 소득세 면세와 음담패설 테이프 공개로 코너에 몰린 트럼프가 낙마 위기에서 빠져나올 수 있느냐였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가 클린턴을 공격하고 질문은 회피하면서 간신히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면서 "트럼프가 파국은 면했다"고 평가했다. "트럼프에 대한 기대가 낮긴 했지만 많은 전문가의 예상을 뛰어넘었고, 그가 대선 후보로서 끝났을지 모른다는 지지자들의 우려를 가라앉혔다"는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도 "비디오테이프 스캔들과 공화당 내 역풍으로 휘청거렸던 트럼프가 토론에서 다시 일어섰다"고 진단했다. 시청자들의 반응도 비슷했다. CNN방송과 여론조사기관 ORC의 공동 조사에서 클린턴이 잘했다는 응답은 57%, 트럼프가 잘했다는 응답은 34%였다. 시청자들이 토론의 승자로 클린턴을 꼽긴 했지만 격차는 1차 토론 때보다 줄었다. 1차 토론 직후 같은 조사에선 클린턴이 62%, 트럼프가 27%였다. 게다가 트럼프가 예상보다 잘했다는 반응은 63%로, 클린턴(39%)을 크게 능가했다. 시장조사업체 유고브 조사에서도 클린턴이 토론 승자로 나왔지만 격차는 크지 않았다. 응답자의 47%가 클린턴이 이겼다고 평가했고, 42%는 트럼프 승리라고 대답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트럼프가 1차 토론 때보다는 활력이 있었다"면서 "자신에 대한 추문은 재빨리 넘기는 대신 클린턴의 e메일 스캔들, 벵가지 스캔들, 클린턴 재단 의혹 등을 부각하는 전술을 구사했다"고 분석했다. CNN은 "힐러리가 트럼프의 공격을 쳐내는 데 있어 1차 토론보다 덜 효과적이었다"고 지적했다. 변호사처럼 길게 나열하는 답변 스타일이 인상적이지 않았고, 트럼프를 쓰러뜨릴 수 있는 '한 방'을 날리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날 토론이 트럼프에 실낱같이 남아 있는 승리 가능성을 높여줄지는 미지수다. WSJ는 "이번 토론이 트럼프에게 실망하고 있는 많은 공화당원들에게 중요할지, 아니면 여성들의 (낮은) 지지에 영향을 줄지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힐러리 클린턴 '매직넘버' 선거인단 수 270명 눈 앞
RCP "클린턴 260명 확보"
RCP "클린턴 260명 확보"
대통령 선거 판세가 힐러리 클린턴(민주당)에게 서서히 기우는 모습이다. 대선을 약 한달 앞둔 현재 힐러리 클린턴이 당선에 필요한 선거인단 수인 '매직넘버(전체 538명 중 270명 이상)' 확보를 눈 앞에 뒀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정치분석매체, 리얼클리어폴리틱스(RCP)는 9일 "현재 클린턴 260명, 트럼프는 165명의 선거인단을 확보한 것으로 예측된다"며 최근의 여론조사 결과를 전했다. 이는 당락 기준인 '매직넘버'에 10명을 남겨둔 셈이다. 두 후보의 격전지인 펜실베이니아의 표심도 힐러리 클린턴 쪽으로 기울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9일 월스트리트저널, NBC뉴스 등이 공동으로 벌인 여론조사에서 펜실베이니아 유권자 중 절반에 가까운 49%가 클린턴을 지지했다. 반면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후보 지지율은 37%에 그쳤다. 경합지역인 플로리다주에서도 클린턴이 앞섰다. 클린턴은 45%를 받아 트럼프(42%)의 지지율보다 높았다. 반면, 음담패설 녹음파일 공개로 후보 사퇴 압력을 받고 있는 트럼프는 공화당 유권자들로부터 탄탄한 지지를 받고 있다. 8일 폴리티코와 모닝컨설트 조사 결과 공화당원의 74%는 음담패설 논란에도 여전히 트럼프를 지지한다고 응답했다. 이는 오하이오 지역(91%), 펜실베이니아 지역(90%)의 트럼프 지지자들 역시 "트럼프에 대한 지지는 달라지지 않았다"고 답했다.
트럼프와 음담패설 주고받은
방송인 부시, 결국 방송서 하차
방송인 부시, 결국 방송서 하차
미 공화당 대통령 선거 후보 도널드 트럼프와 11년 전 음담패설을 주고받은 사실이 공개된 방송인 빌리 부시(45)가 결국 방송에서 중도 하차했다. 10일 미국 언론은 NBC 방송이 자사 프로그램 '투데이 쇼' 공동 진행자인 부시에게 출연 금지 징계를 내렸다고 전했다. 부시와 함께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서배너 거스리는 이날 방송에서 "추가 조사 결과가 나올 때까지 NBC 방송이 부시를 출연 금지하기로 했다"고 시청자들에게 알렸다. 경제전문 방송인 CNN 머니는 방송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부시가 다시 투데이 쇼에 출연하기는 어렵다고 소개했다. NBC 방송은 애초 부시를 징계하지 않을 예정이었으나 전날 오후 프로그램에서 내쫓기로 급선회했다. 제작진의 다수를 차지하는 여성 스태프가 불쾌감을 표시한 데다가 당장 부시를 해고하라는 온라인 청원과 비판이 봇물이 터지는 등 여론이 크게 악화했기 때문이다. 미국 방송계는 NBC 방송이 최근 수백만 달러를 주고 계약한 부시를 막심한 손실을 감수하고 징계한 것에 매우 놀라는 분위기다. 조지 W. 부시 전 대통령,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의 사촌으로 정치 명문 '부시 가문'의 일원인 빌리 부시는 연예 프로그램 '액세스 할리우드'를 진행하던 2005년 10월, 드라마 카메오 출연을 위해 녹화장으로 향하던 트럼프와 버스 안에서 음담패설을 나눈 녹음파일이 7일 일간지 워싱턴포스트를 통해 대서특필됐다. 트럼프는 당시 부시에게 상스러운 말을 동원해 '액세스 할리우드'를 함께 진행하던 유부녀 낸시 오델(50)을 유혹하려던 경험을 털어놓았다. 부시는 동료에게 추파를 던진 트럼프와 농담을 이어갔다. 대선국면에서 트럼프를 최대 위기로 몰아넣은 음담패설 파문의 주역 중 한 명인 부시는 곧바로 성명을 내어 "분명히 당황스럽고 수치스러우며 변명의 여지가 없다"며 사과하고 "그러나 11년 전 일이었고, 나는 어렸고 덜 성숙해서 덩달아 바보스러운 행동을 했다"고 덧붙였다. 부시의 공개 사과에도 음담패설 파문의 비판이 날로 거세지자 NBC 방송은 결국 징계의 칼을 뽑아들었다.
weeklyfocus
weeklyfocus@focuscolorado.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