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항공 LA발 마닐라·홍콩도 800달러대

         “같은 서부 해안도시인데 비행기표 가격 차이가 왜 이리 크지?” LA에 거주하는 한인 김모(53)씨는 지난주 아시아나항공으로부터 오는 8월21일~11월30일 사이 LA를 출발하는 한국행 왕복티켓을 여름 전에 구입하면 돈을 절약할 수 있다는 내용의 이메일을 받고 깜짝 놀랐다. LA 출발 티켓가격은 1,221달러인데 반해 샌프란시스코 출발티켓은 790달러로 가격이 무려 431달러나 차이가 났기 때문이다.  시애틀 출발 티켓도 1,062달러로 LA보다 159달러나 저렴했다. 김씨는 “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3개 도시와 한국 간의 거리가 거기서 거긴데 왜 비행기표 가격은 크게 차이가 나는지 이해할 수 없다”며 쓴웃음을 지었다. LA 거주 한인들이 국적항공사의 한국행 비행기표를 구입할 때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등 다른 서부 해안도시 거주자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보가 25일 오는 5월21일 출발, 6월12일 돌아오는 스케줄로 3개 도시별 국적항공사 한국 왕복티켓 가격(직항)을 비교한 결과 대한항공 직판가는 LA 1,918달러, 샌프란시스코 1,173달러, 시애틀 1,640달러였다.  아시아나 직판가는 LA 1,836달러, 샌프란시스코 1,025달러, 시애틀 1,625달러였다. 타운 내 한 한인여행사를 통해 오는 8월21일 출발, 9월5일 귀국하는 스케줄로 한국행 왕복티켓 가격(직항)을 알아본 결과 대한항공은 LA 1,159달러, 샌프란시스코 755달러, 시애틀 1,027달러였고, 아시아나는 LA 1,149달러, 샌프란시스코 780달러, 시애틀 1,027달러였다. 같은 출발·귀국 날짜로 한 유명 여행사이트를 통해 가격을 확인해 보니 대한항공은 LA 1,265달러, 샌프란시스코 771달러, 시애틀 1,200달러였고, 아시아나는 LA 1,271달러, 샌프란시스코 777달러, 시애틀 1,043달러로 나타났다. LA에서 한국보다 거리가 1,300마일 더 먼 필리핀 마닐라의 경우 8월21일 떠나 9월5일 돌아오는 외국항공사 왕복티켓 가격이 854달러에 불과해 국적항공사의 LA 발 한국행 티켓보다 400달러나 싸다.  LA에서 마닐라와 비슷한 거리인 홍콩의 경우 같은 일정의 외국항공사 왕복티켓 가격은 808달러에 불과하다. 오는 8월 말 아내 및 두 자녀와 함께 2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할 예정인 윤모(46·글렌데일)씨는 “여행사, 온라인 사이트 등을 통해 알아보니 샌프란시스코에서 떠나는 국적항공사 티켓가격이 LA보다 400달러나 저렴하다”며 “LA에서 떠날 경우 4인이면 1,600달러를 더 지출해야 한다는 계산이 나와 샌프란시스코로 가서 2주 동안 자동차를 친지 집에 세워놓고 한국을 다녀올까 생각 중”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LA,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간 한국행 비행기표 가격이 차이가 나는 것에 대해 항공사 관계자들도 명확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출발지와 목적지, 공급과 수요, 예약 상황, 타 항공사와의 경쟁 등 여러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티켓가격이 정해진다는 것 외에는 뭐라고 설명할 길이 없다”고 말했다.

오바마, 영국 청년에 "사람이 만든 문제는 사람이 풀 수 있다"

          "비관주의와 냉소주의를 떨치고 진보가 이뤄진다는 사실을 깨달아라. 진보는 필연적인 것이 아니고 투쟁과 단련, 신념으로 얻어내는 것이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런던 타운홀 미팅에서 영국 우등생과 미국 교환학생 등 청년 500명과 만나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힘이 존재한다는 생각을 버리라고 조언하고 싶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존 F.케네디 전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해 "우리의 문제는 사람이 만들어낸 것이고 사람이 풀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러분 세대가 편안하게 지내왔다고 말할 수 없다"며 "미국 뉴욕의 9·11 테러와 런던에서의 7·7 테러를 겪었고 정보화의 시대 속에 사는 등 숨이 막힐 듯한 변화를 겪었다"고 말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청년들이 마주한 역경을 이해하지만, 비관주의를 가져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자신의 임기 내 치적을 묻는 말에 '오바마케어'라고 불리는 건강보험개혁법과 2008년 금융위기에 대처한 것을 꼽았다. 또 이란과의 핵 협상 타결과 에볼라 대처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5년 뒤에 가난이 종식되지 않더라도 포기하거나 냉소주의에 무릎 꿇지 않는다"며 "마틴 루서 킹의 말처럼 '우주의 포물선은 길지만, 그 방향은 정의를 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학생운동에 대해 정치가와 협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젊은 활동가들이 정치적 절차 바깥에서 비판하는 대신 정치 지도자와 함께 일하며 해결책을 찾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흑인 인권 운동을 하는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의 운동가를 완곡하게 비판한 것으로 읽힌다고 뉴욕타임스(NYT)는 풀이했다. 이외에도 성전환자 문제와 교육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해 의견을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자신이 '논 바이너리'(남녀 이분법에 해당하지 않는 성별 정체성)라고 밝힌 한 파키스탄계 영국인 여학생이 눈물을 보이자 "사회적 관점이 변하고 있다는 데 용기를 가지길 바란다"며 "아주 빠르지는 않지만, 당신과 같은 청년들의 용기 있는 행동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크레딧카드 연체료 케이블 요금 깎기 전화로 ‘흥정’효과

        크레딧카드 회사, 케이블 TV 컴퍼니 등이 고객이 요청하면 이자율, 월사용료 등을 낮춰주는 경우가 잦은것으로 나타나 소비자들은 이를 십분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본인이 적극적으로 행동에나설 경우 원하는 것을 얻어낼 수 있다는 얘기다. ‘크레딧카드 닷컴’이 미국 내 크레딧카드 사용자 983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5%가 카드사에 요청했더니 연 이자율(APR)을 낮춰줬다고 답변했고 86%는 같은 방법으로 페이먼트 연체 수수료를 면제받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대부분의 카드 소지자들은 이런 혜택을 받으려는 목적으로 카드사에 연락하길 꺼려하고 있다고 크레딧카드 닷컴은 전했다. 실제로 카드 소지자의 28%만이 카드사에 전화를 걸어 페이먼트 연체 수수료를 면제해 달라고 요청했고 23%만이 현재 적용받는 것보다 더 낮은 APR를 요구했다. 케이블 TV도 고객센터에 연락해 “요금이 비싸다. 깎아 달라”고 요청하면 돈을 절약할 가능성이 높다. LA에거주하는 한인 이모(36)씨는“ 타임워너 케이블에 연락해 지금까지 내온 월 110달러의 사용료(TV+인터넷·디지털 폰)가 너무 비싸 이를 낮춰달라고 요구했더니 바로 월 92달러로 깎아줬다”며 “케이블 TV에 가입한 한인 중 상당수가 아무 생각 없이 회사가 부과하는 요금을 내고 있어 안타깝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