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민주 대선후보 경선‘수퍼 화요일’각각 7개주서 승리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구도가 가시화 되고 있다. 민주당 경선 주자인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공화당 경선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는 1일 ‘수퍼 화요일’ 경선 무대에서 승리하면서 ‘힐러리 대 트럼프’ 대세론을 굳혔다. 이날 11개 주에서 열린 공화당 경선에서 트럼프는 7개 주를 석권하면서 공화당 지도부를 긴장시키고 있다. 민주당 경선에서는 클린턴이 7개 주에서 버니 샌더스를 누르고 승리했다. 하지만 클린턴과 경합하는 샌더스 역시 버몬트를 비롯해 4개주를 차지하면서 경선 승리의 불씨를 살려갔다. 클린턴은 이날 오후 9시 현재(서부시간) 앨라배마(79%), 아칸소(68%), 조지아(71%), 매사추세츠(51%), 테네시(67%), 텍사스(66%), 버지니아(65%) 등 7개주에서 승리했다. 반면 버니 샌더스는 자신의 출신 주인 버몬트에서 압도적인 표차(87%)로 클린턴을 누른데 이어 콜로라도(59%), 미네소타(59%), 오클라호마(52%)등 남서부 주를 차지하면서 힐러리 독주에 제동을 걸었다. ‘아웃사이더’ 돌풍을 일으키며 이전 치러진 4개주 선거에서 3개주를 석권했던 공화당의 트럼프는 이날도 앨라배마(44%), 아칸소(33%), 조지아(39%), 매사추세츠(49%), 테네시(39%), 버몬트(33%), 버지니아(35%)를 차지했다. 경선 첫 무대인 아이오와에서 첫승을 따내며 존재감을 과시했던 테드 크루즈 상원의원은 자신의 지역구인 텍사스(43%)와 이웃한 오클라호마(34%) 등 2개주에서 승리했다. 반면 공화당내 트럼프의 대항마로 부상한 마르코 루비오(플로리다) 상원의원은 미네소타(37%)에서 승리를 따내 체면을 유지했다. 공화당 코커스가 열리는 알래스카에서는 오후10시 현재 개표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의약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제약회사와 투자자들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비난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이어지는 의약품의 가격 상승은 종류를 가리지 않고 있으며 합리적 수준을 훨씬 벗어나고 있다. 의학 전문지인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은 최근 의약품 폭리를 심도있게 폭로했고, CBS뉴스와 60미닛(Minutes)같은 시사프로 등에서도 이슈가 점화됐었다. 의학저널(AJHSP)이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인의 처방약 지출 비용은 2013년 326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8년에는 1조3000억 달러로 치솟을 전망이다. 의약품 폭리 스캔들의 단적인 사건은 지난해 발생했다. 62년 전에 출시된 약 가격이 갑자기 한 알에 736달러로 급등한 것이다. 전직 헤지펀드 매니저였던 마틴 슈크렐리는 튜링(Turing)이라는 제약회사를 설립한 뒤 에이즈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다라프림 (Daraprim)의 판권을 매입한 뒤 한 알에 13.50 달러이던 약값을 하룻만에 55배인 736달러로 올려버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로 인해 에이즈 환자들은 생명유지를 위해 연간 10만 달러에 달하는 약값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다. 약값 급등 사례는 많다. 2013년 10월 천식치료제 알부테롤(Albuterol) 2mg 100정 한 병의 가격은 11달러였지만 2014년 4월부터 434달러로 급등했다. 간질.편두통 치료제 디발프로엑스(Divalproex Sodium ER)의 경우, 2013년 10월 80정 가격이 31달러였으나 2014년 4월 234달러로 상승했다. 이밖에 항생제인 Doxycycline는 6.3센트에서 3.36달러로, 고혈압약인 Captopril은 1.4센트에서 39.9센트로, 항우울제 Clomipramine는 22센트에서 8.32달러로 살인적인 인상률을 기록했다. 콜레스테롤 억제제인 프라바스타틴 (Pravastatin)은 2013년 10월에서 2014년 4월 사이 573% 인상되면서 미국 소비자들에게 연간 59억 달러의 비용 부담을안겼다.
세계 최대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이 24일 기존의 ‘좋아요’ 기능을 6가지 ‘반응’으로 늘려 시행에 들어갔다. 이날부터 새로 도입된 반응의 종류는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기존의 ‘좋아요’, 빨간 바탕에 하얀 하트가 그려진 ‘사랑해요’, 입을 크게 벌리고 마구 웃는 ‘하하’, 입을 쩍 벌리며 놀란 표정을 짓는 ‘와우’, 우울한 표정으로 눈물을 훌쩍이는 ‘슬퍼요’, 화난 표정을 지으며 얼굴이 달아오르는 ‘화나요’ 등이다. 반응을 게시물에 남기려면 게시물 하단에 있는 ‘좋아요’ 아이콘을 오래 누르거나 그 위에 커서를 댄 후 뜨는 메뉴에서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 데스크탑과 모바일 양쪽 모두에서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간 페이스북 게시물에 공감을 표현하는 버튼은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손 모양의 아이콘을 쓰는 ‘좋아요’가 유일했으나, 슬픈 소식 등에는 사용하기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사용자들로부터 끊이지 않았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10월부터 약 4개월간 이런 개편을 스페인과 아일랜드에서 시험해 본 후 이번에 전 세계로 확장했다.
한 알 13달러짜리가 736달러로 급등
'미친 약값' 브레이크가 없다
'미친 약값' 브레이크가 없다
의약품 가격이 치솟으면서 제약회사와 투자자들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비난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 이어지는 의약품의 가격 상승은 종류를 가리지 않고 있으며 합리적 수준을 훨씬 벗어나고 있다. 의학 전문지인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은 최근 의약품 폭리를 심도있게 폭로했고, CBS뉴스와 60미닛(Minutes)같은 시사프로 등에서도 이슈가 점화됐었다. 의학저널(AJHSP)이 보도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인의 처방약 지출 비용은 2013년 3260억 달러 수준이었으나 2018년에는 1조3000억 달러로 치솟을 전망이다. 의약품 폭리 스캔들의 단적인 사건은 지난해 발생했다. 62년 전에 출시된 약 가격이 갑자기 한 알에 736달러로 급등한 것이다. 전직 헤지펀드 매니저였던 마틴 슈크렐리는 튜링(Turing)이라는 제약회사를 설립한 뒤 에이즈 치료제로 사용되어 오던 다라프림 (Daraprim)의 판권을 매입한 뒤 한 알에 13.50 달러이던 약값을 하룻만에 55배인 736달러로 올려버렸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로 인해 에이즈 환자들은 생명유지를 위해 연간 10만 달러에 달하는 약값을 지불해야 하는 상황이다. 약값 급등 사례는 많다. 2013년 10월 천식치료제 알부테롤(Albuterol) 2mg 100정 한 병의 가격은 11달러였지만 2014년 4월부터 434달러로 급등했다. 간질.편두통 치료제 디발프로엑스(Divalproex Sodium ER)의 경우, 2013년 10월 80정 가격이 31달러였으나 2014년 4월 234달러로 상승했다. 이밖에 항생제인 Doxycycline는 6.3센트에서 3.36달러로, 고혈압약인 Captopril은 1.4센트에서 39.9센트로, 항우울제 Clomipramine는 22센트에서 8.32달러로 살인적인 인상률을 기록했다. 콜레스테롤 억제제인 프라바스타틴 (Pravastatin)은 2013년 10월에서 2014년 4월 사이 573% 인상되면서 미국 소비자들에게 연간 59억 달러의 비용 부담을안겼다.
페이스북‘좋아요’기능 6가지로 확대
세계 최대 소셜 미디어 페이스북이 24일 기존의 ‘좋아요’ 기능을 6가지 ‘반응’으로 늘려 시행에 들어갔다. 이날부터 새로 도입된 반응의 종류는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기존의 ‘좋아요’, 빨간 바탕에 하얀 하트가 그려진 ‘사랑해요’, 입을 크게 벌리고 마구 웃는 ‘하하’, 입을 쩍 벌리며 놀란 표정을 짓는 ‘와우’, 우울한 표정으로 눈물을 훌쩍이는 ‘슬퍼요’, 화난 표정을 지으며 얼굴이 달아오르는 ‘화나요’ 등이다. 반응을 게시물에 남기려면 게시물 하단에 있는 ‘좋아요’ 아이콘을 오래 누르거나 그 위에 커서를 댄 후 뜨는 메뉴에서 아이콘을 선택하면 된다. 데스크탑과 모바일 양쪽 모두에서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간 페이스북 게시물에 공감을 표현하는 버튼은 엄지손가락을 치켜든 손 모양의 아이콘을 쓰는 ‘좋아요’가 유일했으나, 슬픈 소식 등에는 사용하기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사용자들로부터 끊이지 않았다. 페이스북은 지난해 10월부터 약 4개월간 이런 개편을 스페인과 아일랜드에서 시험해 본 후 이번에 전 세계로 확장했다.
weeklyfocus
weeklyfocus@focuscolorado.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