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림돌' 부모 청부살해 시도
극단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빠진 미국 10대 소년이 IS 추종 테러를 계획하고 부모님의 방해를 우려해 청부살해하려 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 소년은 이웃집 70대 노인을 살해한 혐의도 받고 있다. 1일 AP 통신 등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출신의 저스틴 노잔 설리번(19)이 지난해 6월 IS 지지를 표명하기 위해 무차별 테러를 시도했다고 미 연방 검찰의 공소장을 인용해 보도했다. 설리번은 2014년 9월 그의 부모님이 '아들이 집에 있는 불상 등 불교 관련 물품을 부수고 있다'고 신고하면서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주목을 받게 됐다. FBI 요원은 IS 추종자를 가장해 설리번에게 접근해 이메일과 소셜미디어 등으로 연락을 시작했다. 설리번은 지난해 6월 이 '가짜 IS 추종자'에게 IS에 대한 충성심과 함께 테러 계획을 털어놨다. 온라인에서 IS의 참수 영상 등을 찾아보며 IS에 대한 관심을 키운 설리번은 FBI 요원에게 "죽음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하면서부터 IS를 좋아하게 됐고 무슬림이 되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콘서트장이나 술집, 클럽에서 공격을 단행해 최대 1천 명을 죽일 수 있을 것 같다면서 FBI 요원에게 합류하라고 제안했다. 설리번은 총기쇼에서 총기를 구매하기로 마음먹고는 FBI 요원에게 총기에 장착하는 소음기를 사서 집으로 부치도록 했다. 특히 그는 부모님이 집에서 소음기를 발견하자 테러를 방해할 것으로 보고 FBI 요원에게 부모님의 청부살해를 요청하기도 했다. 설리번은 곧바로 FBI에 체포됐으며, 현재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받고 있다. 한편, 설리번은 2014년 12월 옆집 살던 70대 노인을 살해한 혐의도 받고 있다. 그는 아버지의 권총으로 이웃집 74세 노인을 쏴서 숨지게 했다. 살해된 노인의 시신은 그의 집 앞마당에서 매장된 채 발견됐다. 정확한 살해 동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물리치료 클리닉을 운영하면서 서류를 조작해 1,500만달러 메디케어 사기행각을 벌여왔던 한인 3명이 연방 검찰에 전격 체포됐다. 연방 검찰은 지난 달 29일 데이빗 민(67)씨와 제이슨 민(34)씨 등 한인 부자와 사이먼 홍(54)씨 등을 메디케어 사기 혐의로 체포해 기소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물리치료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이들은 서류를 조작해 환자들이 받지도 않은 물리치료를 받은 것처럼 속여 메디케어 당국에 1,500만달러가 넘는 의료비용을 거짓 청구해, 780만달러를 메디케어 비용으로 지급받아 온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0월 LA와 오렌지카운티에서 적발된 ‘리햅 다이내믹스’와 ‘이노베이션 피지컬 테라피’ 클리닉 등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이들의 혐의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포된 한인들은 어바인과 월넛, 토랜스 등지에서 물리치료 클리닉을 운영해왔다. 데이빗 민씨와 제이슨 민씨는 부자 관계로 어바인에서 ‘글로리 리햅 팀’이란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이먼 홍씨는 ‘CMH'란 의료컴퍼니를 설립해 월넛, 토랜스 등 남가주 전역에 다수의 물리치료 클리닉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씨 부자는 6건의 메디케어 건강보험 사기, 6건의 뇌물수수, 2건의 신분도용 혐의를 받고 있으며, 홍씨도 8건의 건강보험 사기, 9건의 뇌물수수, 2건의 신분도용 등 중범혐의로 기소됐다. 한편, 검찰은 지난해 10월 메디케어 사기 혐의로 적발됐으나 검거되지 않고 있는 한인 카이로프랙터 데이빗 김(54)씨를 공개 수배 중이라고 밝혔다.
오렌지카운티 샌타애나의 구치소에서 탈옥한 흉악범 3명이 지난달 30일 모두 체포된 가운데 일주일 넘게 경찰의 추적을 피해 도주한 이들의 행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오렌지카운티 검찰은 1일 이들 탈옥범들이 공범들의 도움으로 구치소 안에 탈출을 위한 장비들을 은닉해 반입한 뒤 달아나 택시기사를 인질로 잡고 도주극을 벌였으며, 특히 이 인질을 살해하려다 내분이 발생하면서 결국 덜미를 잡히게 됐다고 발표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 3명은 지난 22일 샌타애나에 위치한 구치소에서 탈출을 한 뒤 인근 웨스트민스터와 로즈미드 지역에 은신해 있다가 택시 운전기사를 납치해 총으로 위협한 뒤 도중에 흰색 밴 차량을 훔쳐 북가주 샌호제까지 함께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탈주극 주범 호세인 나예리(37)가 인질로 잡은 택시기사를 살해하려고 하자 이에 반대한 박 덩(43)이 언쟁을 벌였고, 나예리와 또 다른 탈옥범인 조나단 띠에우가 자리를 비운 사이 택시기사와 함께 빠져나온 박 덩이 지난달 29일 자수를 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미국에서 성관계로 지카 바이러스가 감염한 사례가 나왔다. 그간 미국에서도 감염 사례는 보고됐지만 국내가 아닌 바이러스 유행 지역에서 유입된 경우였다. 미국 내에서 감염이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일 언론에 따르면 텍사스주 댈러스 카운티 보건국은 신원을 공개할 수 없는 한 주민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발표했다. 이 주민은 브라질 등 바이러스 유행 지역을 다녀온 적이 없었다. 베네수엘라를 다녀온 사람과 성관계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건국은 밝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이 환자의 성 접촉 감염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지카 바이러스는 주로 이집트 숲 모기에 물릴 경우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반적인 신체접촉으로는 감염이 되지 않으며, 성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오긴 했다. 이번 미국 내 사례로 성접촉 감염 사실이 명확해진 것이다. 댈러스 카운티 재커리 톰슨 보건국장은 "성관계를 통해 지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자기뿐 아니라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서 폭넓은 대국민 홍보를 펼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1,500만달러 메디케어 사기
한인 부자 등 3명 체포
한인 부자 등 3명 체포
물리치료 클리닉을 운영하면서 서류를 조작해 1,500만달러 메디케어 사기행각을 벌여왔던 한인 3명이 연방 검찰에 전격 체포됐다. 연방 검찰은 지난 달 29일 데이빗 민(67)씨와 제이슨 민(34)씨 등 한인 부자와 사이먼 홍(54)씨 등을 메디케어 사기 혐의로 체포해 기소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물리치료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이들은 서류를 조작해 환자들이 받지도 않은 물리치료를 받은 것처럼 속여 메디케어 당국에 1,500만달러가 넘는 의료비용을 거짓 청구해, 780만달러를 메디케어 비용으로 지급받아 온 혐의를 받고 있다. 검찰은 지난해 10월 LA와 오렌지카운티에서 적발된 ‘리햅 다이내믹스’와 ‘이노베이션 피지컬 테라피’ 클리닉 등에 대한 수사과정에서 이들의 혐의를 포착했다고 밝혔다. 이날 체포된 한인들은 어바인과 월넛, 토랜스 등지에서 물리치료 클리닉을 운영해왔다. 데이빗 민씨와 제이슨 민씨는 부자 관계로 어바인에서 ‘글로리 리햅 팀’이란 클리닉을 운영하고 있으며, 사이먼 홍씨는 ‘CMH'란 의료컴퍼니를 설립해 월넛, 토랜스 등 남가주 전역에 다수의 물리치료 클리닉을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씨 부자는 6건의 메디케어 건강보험 사기, 6건의 뇌물수수, 2건의 신분도용 혐의를 받고 있으며, 홍씨도 8건의 건강보험 사기, 9건의 뇌물수수, 2건의 신분도용 등 중범혐의로 기소됐다. 한편, 검찰은 지난해 10월 메디케어 사기 혐의로 적발됐으나 검거되지 않고 있는 한인 카이로프랙터 데이빗 김(54)씨를 공개 수배 중이라고 밝혔다.
택시기사 인질잡고 도주
살해 싸고 내분 덜미
살해 싸고 내분 덜미
오렌지카운티 샌타애나의 구치소에서 탈옥한 흉악범 3명이 지난달 30일 모두 체포된 가운데 일주일 넘게 경찰의 추적을 피해 도주한 이들의 행적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와 관련 오렌지카운티 검찰은 1일 이들 탈옥범들이 공범들의 도움으로 구치소 안에 탈출을 위한 장비들을 은닉해 반입한 뒤 달아나 택시기사를 인질로 잡고 도주극을 벌였으며, 특히 이 인질을 살해하려다 내분이 발생하면서 결국 덜미를 잡히게 됐다고 발표했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 3명은 지난 22일 샌타애나에 위치한 구치소에서 탈출을 한 뒤 인근 웨스트민스터와 로즈미드 지역에 은신해 있다가 택시 운전기사를 납치해 총으로 위협한 뒤 도중에 흰색 밴 차량을 훔쳐 북가주 샌호제까지 함께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탈주극 주범 호세인 나예리(37)가 인질로 잡은 택시기사를 살해하려고 하자 이에 반대한 박 덩(43)이 언쟁을 벌였고, 나예리와 또 다른 탈옥범인 조나단 띠에우가 자리를 비운 사이 택시기사와 함께 빠져나온 박 덩이 지난달 29일 자수를 했다고 검찰은 전했다.
지카 바이러스
성관계로 미국 내 첫 감염
성관계로 미국 내 첫 감염
미국에서 성관계로 지카 바이러스가 감염한 사례가 나왔다. 그간 미국에서도 감염 사례는 보고됐지만 국내가 아닌 바이러스 유행 지역에서 유입된 경우였다. 미국 내에서 감염이 보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일 언론에 따르면 텍사스주 댈러스 카운티 보건국은 신원을 공개할 수 없는 한 주민이 지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발표했다. 이 주민은 브라질 등 바이러스 유행 지역을 다녀온 적이 없었다. 베네수엘라를 다녀온 사람과 성관계를 통해 감염된 것으로 보인다고 보건국은 밝혔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이 환자의 성 접촉 감염 사실을 공식 확인했다. 지카 바이러스는 주로 이집트 숲 모기에 물릴 경우 감염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일반적인 신체접촉으로는 감염이 되지 않으며, 성접촉으로 감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오긴 했다. 이번 미국 내 사례로 성접촉 감염 사실이 명확해진 것이다. 댈러스 카운티 재커리 톰슨 보건국장은 "성관계를 통해 지카 바이러스가 전파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면서 "자기뿐 아니라 타인을 보호하기 위해서 폭넓은 대국민 홍보를 펼쳐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weeklyfocus
weeklyfocus@focuscolorado.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