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인상주의 전시’는 조롱거리였다

‘인상-해돋이’, 1873년, 캔버스에 유채, 48×63m, 파리 마르모탕 미술관 소장.

    

 

      '인상주의'라는 용어는 클로드 모네(1840~1926)로부터 시작했다.
하지만 미술 역사상 가장 획기적인 혁명을 가져온 미술 그룹이 인상주의지만 모네 한 사람이 인상주의를 이끈 것은 아니다. 19세기 급진적으로 등장한 이념에 동조한 화가들이 발전시켰고 모네는 인상주의 미술에 중심에 있는 대표적인 화가다.
풍경이나 인물들의 순간적인 모습을 포착해서 그린 인상파 화가들의 새로운 화풍은 19세기 당시에 볼 수 없는 혁신적인 그림들이었다. 지금은 미술사조 중에 가장 인기 있는 인상주의 화가들이지만 그 당시 사실주의가 휩쓸던 화단에서 인상주의는 조롱거리였다. 비평가나 대중들에겐 빛에 따라 변하는 자연이 만들어내는 독특한 효과나 인상주의 화가들이 자주 찾은 도심의 장소에서 만나는 인물들을 그린 그림들이 익숙지 않았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관심에 따라 자연을 묘사하는 화가와 인물을 묘사하는 화가로 나뉜다. 자연을 표현한 인상주의 화가들 중에 모네가 대표적이다.
1874년 제1회 인상주의 전시회에서 인상주의 화가들은 그 이전에는 볼 수 없던 작품과 제목을 선보였다. 모네, 드가, 르누아르, 세잔 등 인상파 화가들이 기존의 미술계에서 받아주지 않던 자신들의 그림을 이 인상주의 전시회를 통해 전시했다. 그러나 전시는 호응을 얻지 못했다. 전시회를 보러 온 사람들은 대부분 실망하는 분위기였으며, 미술 평론가들 역시 그림들을 비웃었다. 그들의 눈에 비친 그림들은 마치 애들 장난처럼 아무렇게나 물감을 덕지덕지 바른 듯한 이상한 그림이었고, 특히 모네의 ‘인상-해돋이’는 인상주의 전시회에 출품된 다른 작품들보다 더 큰 비난을 받았다. 
이 작품에서 모네는 르 아브르 항구의 아침 인상을 유연한 붓놀림과 투명한 색을 사용해 아침 햇살에 빛나는 항구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회색빛 색조 위로 반사되는 햇빛은 간결하고 대담한 오렌지빛 붓놀림으로 표현했다. 화면에서 배와 돛대와 연통은 짙은 안개 때문에 흐릿하지만 부드러운 붓놀림을 통해 화면이 정지되어 있지 않고 생명력을 느끼게 하는 것이 이 작품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보수적이고 권위적인 화단에서는 빛의 변화에 따른 자연을 묘사한 ‘인상-해돋이’를 조잡하고 성의 없는 그림이라고 생각했다. 우선 그림에서 항구의 배나 바다의 풍경에 대한 정확한 윤곽이 잘 드러나 있지 않는다. 붉은 아침 햇살에 물든 바다의 첫 인상을 마치 물감을 아무렇게나 흩어놓은 것처럼 그려놓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스타일의 모네의 작품을 본 비평가 루이 르루아는 풍자 신문 ‘르 샤리바리’지에 기고한 기사의 제목을 ‘인상-해돋이’에서 따온 ‘인상주의 전시’라고 붙이고 비난을 퍼부었다.
“… 어딘지 방자하고, 어딘지 미적지근하다. 붓질의 편안함이라니! 미숙한 벽지조차 이 해안 그림보다 더 완성적일 것이다.” 처음 인상주의를 조롱하기 위해 쓴 이 말은 곧 그들을 대표하는 말이 되었다.
클로드 모네는 모노크롬에 가까운 흰색을 사용해 하늘과 눈과 물에 비친 구름을 그린 최초의 화가다. 그는 자연을 자신의 예술세계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그는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기 위해 노력했으며, 늘 장님이 갑자기 앞이 보이게 되었을 때처럼 자연을 새로운 눈으로 파악하려고 애썼다.
만약 모네가 <인상, 해돋이>를 우리가 익히 아는 지식에 따라 그렸다면 아마 푸른 바다에 흰 파도를 그리고 그 위에 한폭의 그림같이 떠있는 배를 그렸을 것이다. 그러나 그의 해돋이 풍경은 바다건 하늘이건 햇살을 받아 붉은 빛이 아른거리는 모습이었고 모네는 자신의 눈으로 직접 확인한 첫인상을 그대로 그림으로 옮겼다.
진부한 틀에서 과감히 탈피해 순수하고 즉각적이며 선입견이 없는 새로운 시각으로 세상과 삶, 현실을 바라본 이들 인상파 화가들의 애정어리고 진실한 시선 덕분에 무한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의 모습이 비로소 예술작품 속으로 들어올 수 있었던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