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는 조선 태종 11년(1411년) 음력 2월 22일, 일본의 국왕이 사신을 보내어 축하선물로 코끼리를 바쳤다. 물론 당시에 일본은 수시로 조선에 사신을 파견해서 그들의 토산물이나 특이한 동물들을 조선에 선물하기 바빴다.
놀랍게도 일본의 왕에 보내온 선물 중 일본에서도 쉽게 볼 수 없었던 코끼리가 조선 땅까지 바다를 넘어 건너왔다. 아마도 당시 해양무역이 발전하던 때라 인도에서 몇 날 며칠을 배멀미하며 일본까지 건너왔을 것이다.

     문제는 코끼리가 선물로 전해지면서부터 바로 생기기 시작했다. 바로 그 어마어마한 코끼리 밥값 때문이었다. 당시 조선에서는 사복시라는 곳에서 임금이 타는 말인 어승마나 금군들의 말을 관리했다. 그래서 선물 받은 코끼리는 사복시에서 마구간 몇 개 트고 새로운 보금자리를 얻게 된다.
그런데 코끼리란 짐승이 워낙 덩치가 커서 식탐이 상상을 초월했다. 하루에 먹어치우는 양이 콩 4말에서 5말씩을 먹어 치우니 말 그대로 이것은 밥값 때문에 큰 고민거리가 되었다. 이것을 년으로 환산하면 1년에 소비되는 쌀이 48섬이며, 콩이 24섬 정도이니 큰 부담이 될 수 밖에 없었다. 그럼에도 나름대로 편안한 일 년의 시간이 흘러갔다.
다음 해인 1412년 12월10일, 그 춥던 겨울날에 전 공조전서였던 이우(李瑀)는 기이하게 생긴 동물을 사복시에서 기른다기에 두툼히 옷 차려 입고 그곳으로 구경을 가게 되었다. 그때 사복시에서 보금자리를 틀고 나름대로 안락한 생을 보내고 있는 코끼리를 보고 이우가 말하기를 ‘내 살다가 살다가 저렇게 흉측하게 생긴 동물은 처음일세, 허허~’. 그리고 코끼리를 보며 ‘퇘퇘퇘~’하며 침을 뱉으며 코끼리를 비웃기 시작했다. 그러자 돌발상황이 발생햇다. 화가 난 코끼리는 그만 이우를 밟아 버린 것이다.
당시 ‘코끼리 살인사건’을 담당했던 병조판서 유정현(柳廷顯)은 사람의 법으로 따진다면 코끼리가 사람을 죽였으니 그 또한 죽이는 것이 옳겠으나, 일본에서 바친 선물임을 감안하여 저 멀리 전라도의 섬으로 코끼리를 유배시키는 것이 좋겠다고 판결하게 된다. 그리하여 코끼리는 전라도 섬으로 유배 길에 오르게 된다. 보통 이 정도의 죄목이면 죄인들이 타는 수레를 타고 이동하게 되는데, 워낙 코끼리가 덩치가 크다 보니 걸어서 그곳으로 향하게 된다. 마침내 도착한 곳은 전라도 순천부의 장도라는 섬으로 주변에 먹을 것이라곤 바다풀이 전부였다. 자신의 처지가 서글펐는지 코끼리는 사람들이 자신을 볼 때마다 눈물을 뚝뚝 흘리며 하소연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내용을 당시 전라도 관찰사가 보고하자 임금님은 코끼리를 불쌍히 여겨 유배를 풀고 다시 예전에 살던 사복시로 코끼리의 집을 옮겨주었다.

     코끼리는 돌아왔으나 엄청나게 먹는 양이 다시 문제가 되었다. 그리하여 코끼리는 또 다시 전라도, 경상도, 충청도를 돌며 순번제로 이 고을, 저 고을을 배회하게 된다. 그러자 코끼리 밥값문제로 지방관들이 조정에 하소연하기 시작했다.  임금님 말씀으로 내려온 동물이라서 행여 밥이라도 안주면 자기 목 달아날까봐 잘 보살펴 주려고 했는데, 밥값이 지방관들의 허리를 휘게 하니 두 손 두발 들게 된 것이다. 이렇게 상황이 좋지 않는데, 코끼리는 또 다시 사고를 치고 만다. 충남 공주에서 코끼리를 돌보던 하인이 그만 또 다시 코끼리 발에 채여서 죽었기 때문이다.
결국 코끼리는 1421년 3월  또 다시 외로운 섬으로 유배를 떠나게 된다. 이렇게 떠나는 코끼리에게 당시 새롭게 왕위에 오른 세종은 ‘물과 풀이 좋은 곳을 가려서 코끼리를 내어놓고, 병들어 죽지 말게 하라’하며 코끼리를 위로하기에 이른다. 이후 코끼리로는 최초로 우리 나라에 발을 들여놓았던 그 코끼리는 역사 속에서 사라지게 된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