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따라 교육비 양극화

    5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분석 결과 지난해 2인 이상 가구의 평균 사교육비 지출액은 31만8000원으로, 전년(30만원)보다 6.1%(1만8000원) 늘었다. 교육비 증가세를 이끈 건 고소득층이다. 지난해 2인 이상 가구 중 소득 상위 20%(5분위)는 월평균 교육비로 63만3000원을 썼다. 전년(58만6000원)보다 8.2% 증가하면서다. 특히 학원 및 보습교육비가 49만3000원으로, 전체 교육비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 수치는 자녀가 성인이거나 없는 가구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 실제 초·중·고교 자녀가 있는 가구의 교육비는 이보다 훨씬 크다. 

    2인 이상 가구 중 소득 하위 20%에 해당하는 1분위는 지난해 월평균 교육비로 7만6000원을 썼다. 5분위 가구가 지출한 교육비의 8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2분위(18만1000원), 3분위(28만7000원), 4분위(41만3000원) 등으로 소득 분위가 높아짐에 따라 교육비가 크게 증가하는 구조다. 소득이 늘어날수록 지출이 증가하는 건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교육비 차이는 이례적인 수준이다. 고소득층 위주로 학원비가 크게 늘다 보니 1분위 대비 5분위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2013년 6.6배에서 지난해 8.3배로 증가했다.

    소득에 따른 사교육비 지출 격차가 커지면서 계층 이동 가능성은 줄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과거처럼 혼자 공부를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을 가고, 좋은 직장에 들어가는 게 어려워져서다. 최수현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부연구위원이 1999년생을 표본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 부모가 5분위인 집단의 자녀는 69%가 일반 대학에 진학했지만, 1분위 자녀는 40%만 일반 대학에 갔다. 이른바 ‘SKY’(서울대·연세대·고려대)에 들어간 학생 50% 이상은 부모 소득이 5분위에 속했다.

    ‘고소득→사교육→좋은 대학’으로 연결되는 현상은 최근 들어 더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학재단에 따르면 지난해 1학기 SKY 의과대학에서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1050명 학생 중 고소득층인 소득 9·10분위인 학생은 74.4%(781명)에 달했다. 2019년(58.5%) 이후 매년 고소득층 비중이 늘고 있다. 가구 월소득인정액 1080만원 이상이 9분위로 분류된다. 사교육 영향력과 의존도가 커지면서 고소득이 보장된 대학에 고소득층 자녀가 주로 진학했다는 의미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