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째 자녀 생각 있다”

    월 400만원을 기준으로 워킹맘 임금이 낮을수록 둘째 자녀를 낳을 확률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이 2010~2022년 출산휴가를 쓴 여성 근로자 약 70만 명을 분석한 결과다. 저출산 여파로 내년도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수는 사상 처음으로 40만 명 이하가 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주요 교육청은 내년도 학교 학급 수 감축 방침을 속속 내놓고 있다.  4일 한국고용정보원의 ‘여성임금과 추가 출산과의 상관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임금구간별로 구분했을 때 가운데(월 임금 400만원)로 갈수록 둘째 이상 출산율이 높은 형태를 보였다. 월 400만원 미만을 받는 여성은 임금이 높아질수록 둘째 이상 아이를 낳는 ‘추가 출산’ 비율이 증가했다. 50만원 미만에서 17.2%였던 추가 출산율이 ▶100만~150만원 23.2% ▶200만~250만원 30.2% ▶300만~350만원 33.3% ▶350만~400만원 33.7%로 증가했다. 보고서를 쓴 김두순 고용정보원 고용동향분석팀장은 “임금 수준과 출산율이 강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며 “저임금 영역에 대한 소득 보전은 추가 출산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시사점이 도출됐다”고 분석했다. 다만 월 임금이 400만원 이상인 집단에선 오히려 임금이 상승할수록 추가 출산율이 하락했다. 월 임금 400만~450만원 미만에서 32.9%로 떨어진 추가 출산율은 ▶500만~550만원 31.5% ▶600만원 이상에서 24%까지 하락했다. 150만원 미만의 저임금 근로자보다는 높았지만 중임금 근로자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김 팀장은 “고임금 근로자의 경우 추 가 출산을 하지 않았을 때의 기회비용이 출산의 편익보다 더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소득에 따라 다른 출산율 제고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통계청 ‘2022 출생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태어난 아이 가운데 첫째아 비중은 62.7%를 기록했다. 첫째아 비중이 60%를 넘은 건 1981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첫째아 비중이 늘었다는 건 전체 출생아 중 둘째아 이상 출산이 줄어든다는 의미다. 쉽게 말해 ‘하나만 낳아 잘 키우겠다’는 부모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40만6243명인 출생아 수는 2017년 35만7771명으로 5만명 가까이 감소했다. 이에 따라 2017년생인 내년 초등 1학년 학생 수는 40만 명 이하가 될 전망이다. 정부는 학생 수 감소에 맞춰 교사 수도 대폭 줄일 계획이다. 교육부의 ‘중장기(2024~2027) 교원수급계획’에 따르면 2027년까지 초·중·고교 교사 신규 채용 규모를 올해보다 최대 2359명(28%) 줄인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