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중국, 북 핵실험 못 하게 막아야”

    조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첫 미중정상회담이 14일 열렸지만 북핵 문제에선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북한의 핵실험 등 도발 저지를 위한 ‘중국 역할론’을 제기했지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시원한 답변을 듣지 못한 것이다. 또 미 백악관 발표와 바이든 대통령 기자회견에선 북핵 문제가 핵심 의제 중 하나로 설명됐지만 중국 측 발표에선 북한 관련 언급조차 없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진 뒤 기자회견에서“중국이 북한을 통제할 수 있을지 확신할 수는 없지만 나는 시 주석에게 (북한이) 장거리(미사일 시험 발사)나 핵실험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중국이) 북한에 분명히 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라고 말했다. 7차 핵실험 준비를 마친 북한이 도발을 중단하도록 설득하라고 시 주석에게 압박을 가했다는 의미다. 다만 시 주석이 대북 영향력 행사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에게 즉답을 주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백악관도 회담 후 발표한 보도자료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며 “(중국 등) 모든 국제사회 구성원들이 북한이 책임감 있게 행동하도록 격려하는 데 관심이 있다고 언급했다”라고 밝혔다. 그러나 중국 측 회담 결과 발표문에는 ‘북핵’이나 ‘북한’, ‘한반도 평화’ 등의 문구가 전혀 들어가지 않았다. 미중 간 북핵 문제를 두고 온도차가 있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7차 핵실험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를 강행하고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제재를 거부하는 등 계속 ‘북한 감싸기’에 나설 경우 설리번 보좌관의 언급이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미국이 동북아 지역 전력 증강에 나선다면 중국의 반발로 긴장은 고조될 수밖에 없다. 특히 바이든 대통령도 기자회견에서 대북 경고를 위한 ‘추가 방위 행위’를 언급했다. 추가 방위 행위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미군 전략자산 괌기지 추가 전진 배치 등 군사력 증강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일 3국 정상은 이미 13일 정상회담을 갖고 북한은 물론 중국ㆍ러시아 견제 의도를 분명히 한 바 있다. 중국을 겨냥해 “인도ㆍ태평양 수역에서의 그 어떤 일방적 현상 변경 시도도 강력히 반대한다”고 경고했고, 대만해협과 남중국해 평화도 강조했다. 물론 중국이 북한의 도발 억제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 미중 정상이 바이든 대통령 취임 후 22개월 만에 만나 대화의 물꼬를 텄고, 3연임에 성공한 시 주석 역시 동북아 정세 안정을 필요로 하는 만큼 북중 간 소통을 통해 도발 억제에 나설 수 있다는 분석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