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지 100여 일이 지난 현재까지 우크라이나를 탈출한 난민은 웬만한 대도시 수준인 700만 명에 육박한다. 이들 난민 대부분은 유럽연합(EU) 국가로 향했고 폴란드, 루마니아 등 이웃 국가도 우크라이나인에게 국경을 개방했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의 난민 유입 사태에 직면한 EU는 신속하게 대응책을 마련했다.  폴란드와 독일 등은 우크라이나 난민을 무제한 수용하면서 정착을 위한 지원에 적극적이다. EU 집행위원회는 개전 직후부터 우크라이나 난민에게 빠르고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임시 보호 명령' 제도를 시행했다. EU는 우크라이나 난민을 위한 등록 플랫폼을 만들었다. 이를 통해 난민에 대한 임시 보호를 제공하고 EU 회원국들이 수용 난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우크라이나 난민의 국가 간 이동을 돕기 위해 EU 차원의 교통·운송을 조정하고 숙박 시설 등 각국의 수용 능력을 파악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도 마련할 예정이다. 독일 정부는 우크라이나 난민 지원을 위해 20억 유로(약 2조6천700억 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폴란드는 경제적 어려움에도 우크라이나 전체 난민의 절반 이상인 370만 명을 받아들였다. 폴란드 정부는 난민 정착을 위해 EU에 재정지원을 요청했다. 6일 워싱턴포스트에 따르면 시나스 부위원장은 EU의 난민 지원 정책에 따라 전쟁이 끝나더라도 적어도 250만~300만 명의 난민이 우크라이나로 돌아가지 않고 EU 국가에 정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EU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난민을 적극 수용하는 태도와는 대조적으로 다른 지역 난민에 대해서는 빗장을 걸어 잠그고 있어 '이중 잣대'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전까지만 해도 EU는 난민에 대한 장벽을 높여 왔다.  11년째 내전 중인 시리아에서는 지금까지 66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고 6년째인 예멘 내전으로 예멘인 400만 명이 고향을 떠났다.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지난해 탈레반이 집권하는 과정에선 수백만 명이 탈출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