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대출 주도…버블 붕괴 땐 '치명상' 우려

    선진국 최악 수준인 가계부채 증가세가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을 키우고 있다. 가계대출의 폭발적 증가세가 여전하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말 가계대출 잔액은 1천666조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44조2천억원이 불어났다. 1분기 가계대출 증가액은 34조6천억원으로 전분기(45조8천억원)에 비해 둔화했지만 작년 분기 평균 증가액(31조7천억원)보다 많았다.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 2018년 말 1천446조6천억원이었으나 불과 2년여 만에 219조4천억원이 증가했다. 이렇게 늘어난 부채는 주택 투자로 가장 많이 흘러들었다. 1분기 주택담보대출은 931조원으로 전분기에 대비 20조4천억원 늘어 전체 가계대출 증가액의 60%를 차지했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잔액은 735조원으로 전분기보다 14조2천억원이 증가했다. 정부 규제로 작년 3분기(22조3천억원)나 4분기(25조5천억원)에 비해 증가 폭이 떨어졌으나 작지 않은 규모다. 여기에는 생계를 위한 급전 수요도 있었겠지만 상당 부분은 부동산이나 주식, 코인에 잠겼을 것으로 추정된다. 통상 경제 위기 국면에선 대출 증가세가 꺾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전대미문의 경제·보건 복합위기인 코로나19 사태는 자산 버블을 촉발하면서 오히려 가계대출의 급증을 불렀다. 대출 증가는 2030 세대가 주도한다. 작년 7월 이후 주택시장은 이들 세대가 이끌고 있다. 증시는 물론 코인시장에서도 물주 역할을 하고 있다.

 

     급증하는 가계부채는 경제 회복에 큰 장애 요인이다. 소득보다 부채가 무거워지면 가계의 소비 여력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고용 탄력성이 큰 서비스업의 회복을 더디게 해 일자리 충격이 장기화할 수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금리 인상이다. 글로벌 수요 확대로 원자재가 품귀를 빚으면서 소비자물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 미국에서는 4월 물가가 4.2% 치솟으면서 인플레이션 우려와 함께 통화정책에 대한 압력이 고조되고 있다. 4월 국내 소비자물가도 2.3% 올라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2%) 넘었다. 높은 수준의 소비자물가 상승이 2∼3개월 이어진다면 한국은행이 금리 인상을 시야에 두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금리가 1% 포인트 오르면 이자 부담액이 가계는 약 12조원, 자영업자는 약 5조원 정도 늘어날 것으로 추산된다. 현재 대출 원리금 상환을 유예받고 있는 영세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한계 중소기업은 생존 위기에 몰릴 수 있다. 부동산 쪽으로 대출의 50% 이상이 몰려있기 때문에 집값이 폭락할 경우 위기를 부를 수 있지만 그런 파국으로 흐를 우려는 낮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앙은행이 금리를 올릴 경우 유동성 홍수 속에 가려져 있던 취약 부분이 노출되면서 경제의 활력을 잠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리 대비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