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 개혁의 후폭풍으로 인도 국민들이 1년 반 만에 또다시 현금 부족 사태를 겪게 됐다. 18일 인도 NDTV 등 현지 언론은 최근 며칠 사이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 주, 텔랑가나 주, 카르나타카 주와 동부 비하르 주, 중부 마디아프라데시 주 등 여러 지역에서 지난 며칠간 은행에 현금이 부족해 주민들이 예금을 인출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졌다고 보도했다. 인도 정부는 2016년 11월 유통 중인 현금의 86%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화폐 개혁을 단행하면서 현금 부족 곤란을 겪었고, 이번에 두 번째 현금 부족 사태를 겪게 된 것이다.  특히 텔랑가나 주에서는 8500개 현금인출기(ATM) 가운데 48%가 현금 부족으로 가동을 일시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자얀드 말라이야 마디아프라데시 주 재무장관은 주민들에게 현금 인출을 자제하고 전자상거래 이용을 당부하기도 했다.  현지 언론은 현금을 뽑으려는 사람들이 현금 인출이 가능한 일부 ATM 앞에서 긴 줄을 만들었다고 전했다.아룬 제틀리 인도 연방 재무장관은 “시중에 현금이 충분하며, 일시적으로 일부 지역에서 과도한 현금 수요가 발생한 것”이라며 “이른 시일에 해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유머 앱’폐쇄에 수 백대 차량시위

    매일 수 백만명의 중국 네티즌들에게 웃음을 안겨주던 동영상 앱이 당국에 의해 폐쇄되자, ‘웃을 자유’마저 빼앗는 당국에 대한 분노가 전국 곳곳에서 차량 시위 등의 형태로 분출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15일 보도했다. 사태의 발단은 지난 10일 동영상 앱 ‘네이한돤쯔’에 대한 광전총국(중국의 미디어 감독 부처)의 전격적인 폐쇄 조치였다. 네이한돤쯔는 웃음을 유발하는 코믹한 영상이나 황당한 상황을 담은 짤막한 동영상들이 핵심 콘텐츠로, 등록된 사용자가 2000만명에 이른다.  검열·폐쇄 조치가 다반사인 중국에선 당국이 한번 정하면 그걸로 끝이었다. 네이한돤쯔를 운영해온 ‘진르터우탸오’의 창업자 장이밍도 “네이한돤쯔가 잘못된 길을 걸었으며 사회주의 핵심 가치관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을 다뤘다”며 즉시 꼬리를 내렸다. 그러나 서로 ‘돤유(네이한돤쯔를 즐기는 사람들)’라고 부르며 유대감을 형성해온 네이한돤쯔의 이용자들은 달랐다. 이들은 “고된 일상 속에서 이 앱을 보고 웃으며 그저 스트레스를 푸는 게 무슨 잘못이냐”며 반발했다. 저속한 동영상으로 시간을 보내며 그저 낄낄대는 무력하고 파편적인 존재들로 보였던 이들은 당국이 미처 생각 못한 조직적인 반발로 당국의 허를 찔렀다. ‘돤유추정’ 등 자신들만의 암호로 무장한 수백명의 돤유들은 지난 10일 밤 베이징 시내 광전총국 주변에서 헤드라이트를 켠 채 경적을 울리는 등 기습 차량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네이한돤쯔를 상징하는 웃는 남자의 모습이나 서구의 만화 캐릭터를 차량에 부착해 서로 돤유임을 알 수 있도록 했다. 한 번은 길게, 두 번은 짧게 경적을 울리는 등 시위 방식도 자신들만의 은밀한 표시로 소통했다. SCMP는 “네이한돤쯔 폐쇄 논란은 인터넷 세대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중국 당국의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해석했다. 베이징의 한 언론인은 “네이한돤쯔는 단지 저속함 때문에 폐쇄당한 게 아니다”며 “당국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시진핑 주석과 당의 선전 메시지로부터 수백만명의 시선을 빼앗는 존재를 용납할 수 없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한국은 가장 중요한 이웃’표현 삭제

    일본 외무성이 최근 홈페이지에 올린 한국에 대한 기술에서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라는 표현을 뺀 것으로 15일 확인됐다. 외무성은 최근 홈페이지에 올린 ‘양국 관계’라는 문서에서 한국에 대해 별다른 수식어 없이 “한일 사이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지만 이를 적절히 관리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해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진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만 기술했다. 외무성 북동아시아과가 작성하는 이 문서는 2개월마다 수정되는데 일본 정부의 공식 견해를 대내외에 알리는 공식적 의미가 있다. 일본 외무성이 한국 수식 표현(‘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을 삭제한 것은 올 1월 아베 신조 총리의 시정연설과 궤를 같이한다. 아베 총리는 2016년과 2017년 시정연설에서 “한국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라고 했지만 올해는 별다른 수식어 없이 “문재인 대통령과 지금까지 양국 간 국제 약속, 상호 신뢰 축적 위에 미래지향적으로 협력 관계를 심화하겠다”고만 말했다. 이를 두고 문 대통령이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과정을 검증하고 그것이 ‘잘못된 합의’라고 규정한 것에 대한 불쾌감이 반영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아베 총리는 취임 직후인 2013년과 2014년에는 한국을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라고 했다.  2015년 말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뤄지고 가토 전 지국장이 무죄 판결을 받으면서 2016년부터 외무성 홈페이지는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이란 수식어를 쓰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번엔 ‘가장 중요한 이웃나라’라는 표현까지 전부 삭제한 것이다. 일본은 최근 대북 문제 등과 관련해 한미일 3국 공조를 강조해 왔다. 그런 상황에서 한일관계를 격하시키는 조치를 취한 셈이어서 적잖은 외교적 논란이 예상된다.

네덜란드 장례엑스포에‘자살기계’등장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서 매년 열리는 장례엑스포에 ‘자살 기계’가 전시돼 논란이 되고 있다고 현지 언론이 15일 보도했다. 네덜란드는 전 세계에서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가운데 하나다. 호주의 안락사 활동가인 필립 니슈케 박사와 네덜란드의 알렉산더 바닝크 디자이너가 3D 프린터로 만든 ‘사르코’라 불리는 이 자살기계는 버튼만 누르면 죽음에 이를 수 있는 기계로 질소통이 들어 있는 석관과 한 세트를 이루고 있다. 안락사를 합법화하려는 그의 활동 때문에 ‘닥터 데스(death)’라는 별명을 가진 니슈케 박사는 언론 인터뷰에서 “죽고자 하는 사람이 캡슐에 들어가 버튼을 누르면 (캡슐 안이) 질소로 가득 차게 된다”면서 “죽으려는 사람은 약간 어지럼증을 느끼지만 급속하게 정신을 잃은 뒤 죽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사르코는 사람들이 죽기를 원할 때 죽음을 제공하는 기계”라고 말했다. 니슈케 박사와 바닝크 디자이너는 이번 암스테르담 장례엑스포에 사르코 한 세트와 함께 가상현실안경을 함께 비치해 방문자들이 ‘사르코’에 눕게 되면 어떻게 되는지 경험할 수 있도록 했다. 이들은 올해 연말까지는 완전하게 작동하는 사르코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후 이들은 이 자살 기계의 디자인을 온라인에 올려, 원하는 사람들이 언제든지 이를 다운로드해서 3D 프린터를 통해 자신이 사용할 기계를 만들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니슈케 박사는 “이는 (자살하려는 사람이) 철로에 뛰어드는 대신에 버튼을 누르기로 선택하는 것”이라면서 “언제 죽을지를 선택하는 것은 심하게 아픈 사람들만의 의학적 특권이 아니라 인간의 기본적인 권리라고 믿는다”고 주장했다. 이번 암스테르담 장례엑스포에도 수천 명 방문객의 발길이 이어졌고, 많은 사람이 논란의 한 복판에 놓인 ‘자살 기계’를 둘러봤다고 언론들은 전했다.

시리아 공습한 미·영·프, 이번엔 외교·경제수단으로 압박

    시리아 화학무기 관련 시설에 미사일 공격을 가한 미국, 영국, 프랑스 등 서방 3개국이 이번에는 외교와 경제 수단을 동원해 2차 압박을 가하고 있다.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의 수중에서 화학무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7년에 걸친 내전을 끝내기 위해 정치적, 외교적 해법을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모습이다. 15일 AFP 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에 따르면 미국, 영국, 프랑스는 14일 공습을 단행한 직후 시리아의 화학무기 사용 의혹에 대한 독립적인 조사를 촉구하는 내용의 유엔 결의안 초안을 안전보장이사회에 회람했다. 초안은 화학무기 조사뿐만 아니라 시리아 내 의료 후송과 구호물자 호송 차량의 안전한 통행 등 인도주의적 지원 허용, 지난 2월 채택된 휴전 결의의 시행 등을 촉구한다. 또 알아사드 정부가 국제 평화협상에 “성실하고 건설적이며, 조건 없이” 참여해야 한다는 요구가 담겼다. 안보리 15개 이사국은 16일 회의를 열어 이 결의안 초안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 자리에서는 시리아 정부가 은닉한 화학무기를 제거할 것을 촉구하고, 러시아의 알아사드 정권 비호를 멈추게 하기 위한 압박 수단도 의제에 오를 것으로 관측된다. 연합 공격을 퍼부은 3개국의 유엔 결의안 추진은 일회성 공습 이후 외교로 복귀하려는 서방의 결의를 보여주는 것으로 AFP는 분석했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는 공습 직후 “시리아 국민이 품은 최선의 희망은 정치적 해결에 있다”고 했고, 국외 망명 중인 시리아 야권 인사인 디마 무사는 “어떤 군사 작전도 정치적 과정으로 이행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 행정부의 한 고위 관료는 AFP에 “미국은 유엔 주도의 대화를 촉구하고 두 가지에 초점을 맞춰서 정치적 해결을 진전시킬 것”이라면서 “하나는 (시리아의) 헌법 개정이고, 다른 하나는 공정하고 자유로운 선거”라고 설명했다. 유럽연합(EU) 외교장관들도 16일 브뤼셀에서 회의를 열어 시리아 사태의 외교 해법을 모색할 예정이다. 동시에 시리아 정권의 최대 후원자인 러시아를 겨냥한 경제 압박의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니키 헤일리 유엔 주재 미국대사는 이날 CBS 방송에 출연해 “아사드 정권에 대해 지속적 지원을 하는 러시아에 대한 신규 제재를 준비하고 있다”며 “아사드 정권과 (아사드 정권의) 화학무기 사용과 관련된 장비를 거래하고 있는 업체들을 직접 겨냥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미국의 추가 대러 제재는 16일 스티므 므누신 재무장관이 발표한다. 그러나 서방의 외교적, 경제적 노력이 성과를 거둘지는 미지수다. 당장 미국, 영국, 프랑스가 낸 결의안이 안보리에서 표결에 상정될 수 있을지조차 불확실하다고 복수의 외교관들이 AFP에 전했다. 러시아는 그동안 유엔 안보리에서 시리아를 타깃으로 한 결의안 채택 시도에 대해 12번이나 거부권을 사용, 번번이 무산시킨 전력이 있다. 이처럼 러시아가 계속 뒤를 봐준다면 시리아 정권으로서도 굳이 서방의 압력에 굴복할 이유가 없어 보인다고 전문가들은 우려한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