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리포니아 주립대, 학자금과 생활비 모두 보조

            13일 새크라멘토 주청사에서 앤소니 랜든(가운데) 주 하원의장 등 민주당 의원과 관계자들이 주립대 학비 지원 확대 방안을 발표하고 있다. 대학 등록금이 계속 치솟으면서 캘리포니아 주립대 학생과 졸업생들의 학자금 부채 부담도 날로 커지고 있는 가운데 캘리포니아 주의회가 학생들의 학자금 빚을 없애주기 위해 학비는 물론 생활비까지 보조해주는 획기적인 무상 교육안을 추진하고 나섰다. 앤소니 랜든 주 하원의장과 케빈 맥카시 의원 등 주 하원 민주당 지도부는 13일 새크라멘토 주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현재 주정부의 학비 보조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는 내용의 이같은 방안을 발표했다. 주 하원 민주당이 발의하는 이번 법안에 따르면 새로운 프로그램은 연소득 6만달러 이하 가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며, 연방 펠 그랜트와 가주 캘 그랜트 등 기존의 학비 보조 프로그램과 학생들의 웍스터디 등 파트타임 일을 통한 보조 외에 이들 프로그램으로 커버되지 않는 나머지 학비와 생활비 전액을 장학금 형태로 지원해준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연소득 6만달러 이하 가정의 학생들은 UC 계열대와 칼스테이트 계열대 진학 시 전혀 학비 부담 없이 대학에 다닐 수 있게 돼 졸업 후 학자금 부채에 시달리지 않아도 되도록 하는 것이 이번 프로그램의 목표라고 주하원 민주당 측은 밝혔다. 커뮤니티 칼리지의 경우 풀타임 등록 학생에게 첫 해 학비 전액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연소득 6만달러 이상 가정 출신 학생들을 대상으로도 지원 액수를 늘려 본인 학비 부담을 줄여나간다는 계획이다. 법안 발의자인 맥카시 의원(민주?새크라멘토)은 “저소득층 학생들이 여러 보조 프로그램을 통해 학비는 지원받고 있으나, 여전히 졸업과 동시에 빚더미에 오르고 있다”며 법안 추진 배경을 밝혔다. 현재 UC 계열대의 경우 연소득 8만달러 이하의 가정의 학생들은 기존의 학비 보조 프로그램들을 통해 학비와 약간의 생활비를 보조받고 있으나, 학자금 전체를 커버할 수는 없어 이들 주립대 학생들의 연간 비용 부담 평균은 약 9,700달러에 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당수의 학생들은 이 부분을 부담하기 위해 학자금 대출을 받고 있는데, 이 때문에 캘리포니아 주립대 졸업자들의 학자금 빚 규모가 평균 2만달러에 이른다고 LA타임스는 전했다. 주의회는 이같은 학비 보조 확대를 위해서는 연간 16억달러 정도의 예산이 추가로 필요할 거으로 보고 있다. 현재 주립대 학비는 등록금과 기숙사비를 합쳐 UC 계열대가 연 3만3,000달러, 칼스테이트 계열대는 연 2만1,000달러 수준인데, 이번 학비 보조 확대안이 주의회를 모두 통과해 확정되면 학비 걱정 없이 주립대를 다닐 수 있는 학생들의 수가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뉴욕주 90년된‘조혼법’폐지 추진

        뉴욕 주가 90년 가까이 존속돼온 ‘조혼법’을 폐지할 방침이라고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가 13일 전했다. 1929년부터 시행된 이 법은 만 14세부터 결혼을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14∼15세의 미성년자는 법원과 부모의 동의를 구한 후, 16∼17세는 부모의 동의로 결혼할 수 있다. 뉴욕 주에 따르면 2000∼2010년 이 법에 따라 결혼한 미성년자가 3천900명에 육박했다. 대부분은 부모가 자신들의 종교와 관습에 따라 자녀를 조기에 결혼시킨 경우였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 주지사는 “대부분 주민은 이런 법이 있는지조차 모를 것이다. 이런 법이 있다는 것을 알면 충격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 주는 법개정을 통해 성인이 되는 18세가 돼야 결혼할 수 있도록 하되, 법원과 부모의 동의로 결혼할 수 있는 최소 연령을 17세로 높일 방침이다. 전문가들은 조기 결혼으로 여러 가정 문제가 양산되고 있다며 이에 반대하고 있다. 우선 특정 종교나 관습에 따라 10대 소녀가 부양 능력이 있는 나이가 많은 남성과 결혼하거나, 미국 영주권을 얻기 위해 결혼하는 등 제도가 악용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결혼한 여성이 가정폭력을 당했을 때 법적 보호막이 없다는 것도 한 이유다.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주 정부가 운영하는 ‘쉼터’에 입소하려면 만 18세가 돼야 하므로 그 이하의 여성은 이혼도 못한 채 폭력에 노출된다는 게 반대론자들의 주장이다.

국립공원중 사망률 1위는 … 레이크 미드 국립 휴양지

       지난해 6월 23세 포틀랜드 거주 남성이 옐로우스톤 간헐천 분지(Norris Geyser Basin)에 빠져 사망. 7월에는 35세 플로리다 거주 여성이 그랜드 캐년에서 트레킹후 사진을 찍다가 추락사. 또한 8월에는 64세 애틀란타 거주 여성이 그레잇 스모키 로드에서 뱀을 구경하다 차에 치어 사망했다.  최근 스포츠 매거진 아웃사이드는 2006년부터 2016년사이 미 국립공원 사망자수를 토대로 ‘죽음의 국립공원’이란 타이틀로 국립공원별 사망자수와 사망원인등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1위는 매년 720만 명이 찾는 아리조나주 레이크 미드 국립 휴양지(Lake Mead National Recreational Area)였다. 연간 사망자 수는 254명. 국립공원내 약 290스퀘어마일의 레이크 미드에서 지난 9월에만 15명이 사망했다. 그 중 4명은 익사사건으로 또한 이 곳은 타 국립공원대비 살인 사건도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2위는 매년 500만명이 찾는 요세미티 국립공원으로 연간 평균 사망자 수는 150명선으로 사망원인 대부분은 절벽에서 추락사, 등산 중 심장마비,심근 경색등으로 인한 사망이었다. 특히 해프돔에서는 60여명이 추락, 번개, 심장마비등으로 사망했다. 3위는 매년 550만명이 찾는 그랜드 캐년이다. 연간 평균 사망자 수는 130명으로 사망원인 대부분은 심장마비 또는 추락사였다. 4위는 연간 600만여명이 찾는 옐로우 스톤국립공원으로 사망자 수는 93명으로 지난해만 13명이 사망했다. 사망자 중 22명은 간헐천 온천수에 화상등으로 사망했다.5위는 샌프란시스코 최대 관광지역인 금문교로 매년 1560만명의 관광객들이 방문하며 연간 사망자 수는 85명이었다.  그외 가주 글렌 캐년, 알라스카 데날리 국립공원,노스캐롤라이나 그레잇 스모키 마운틴 국립공원, 와이오밍의 그랜드 티톤, 미시시피 나체즈 트레이스 파크웨이순 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