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선택
박근혜가 웃었다.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으로 박근혜 후보가 당선되었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첫 여성 대통령이자 부녀 대통령이 탄생한 것이다. 문재인 후보의 ‘정권 교체론’보다 박 후보의 ‘국민 행복론’에 유권자들의 마음이 더 기울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시각 19일에 실시된 대통령 선거에서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가 투표자 3072만 명 중 1600만표 가량을 얻어 득표율 51%를 상회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는 48%인 1500만표 가량을 얻었다. 1987년 직선제 개헌 이후 득표율 50%를 넘긴 대통령은 이번이 처음이다. 70%를 약간 넘을 것으로 예상했던 투표율은 75.8%까지 올랐다. 박 후보의 당선으로 투표율이 높으면 야당이 유리하다는 속설도 깨졌다.
‘박정희 딸’과 ‘노무현 비서실장’이 격돌한 이번 대선은 박정희 시대와 노무현 시대에 대한 기억의 싸움이기도 했다. 또한 이번 대선은 정권 재창출보다 정권 교체를 바라는 여론이 높은 가운데 치러진 것이어서 박 후보에게는 여간 힘든 싸움이 아니었다. 선거 초반에 유지되었던 박근혜 대세론은 무소속 안철수 후보의 등장으로 몇 차례나 흔들렸다. 박 후보는 박근혜, 문재인, 안철수 3자 가상 대결에선 늘 1위를 지켰으나 야당 단일 후보에겐 밀리는 결과가 몇 번이나 나타났다. 안 후보 사퇴 이후 박 후보에게 10% 이상 뒤지던 문 후보의 지지율이 꾸준히 올라가 선거 이틀 전에는 뒤집히기도 했다.
하지만 박근혜는 해냈다. 박근혜 당선인이 승리한 요인은 여러 가지이다. 먼저 5060세대 이상의 압도적 지지를 꼽을 수 있다. 이번 선거결과는 그동안 인터넷 댓글이나 SNS에서 나온 2030세대의 여론 조사에만 치중해 발표되었던 선호도 조사와는 확연히 달랐다. 인터넷 포털, 트위터에서 주류를 이루었던 2030의 의견이 전체 국민여론인양 오인했다는 사실도 이번에 알게 되었다. 박근혜의 당선인은 이런 쇼셜 네트워크와는 거리가 먼, 숨어있던 50대 이상 장년층의 몰표에 승부수가 있었다고 본다. 조사 결과 50대 투표율이 사상 최고인 90%에 육박했다. 이렇게 볼때 숨은 보수의 표심이 그 동안의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정치 초년병보다는 검증된 리더십에 무게를 둔 부동 청년층 또한 박 후보에게 힘을 실었다.
박근혜라는 브랜드의 힘도 영향력을 발휘했다. 전 대통령 3 김과도 맞먹는 유명세가 한몫했다. 사실 박근혜 당선인은 여당이지만 이명박 대통령에게는 야당과도 같은 존재였다. 지금까지 박 후보가 이 대통령을 흔쾌히 밀어준 적이 없었으니, 이 대통령에게는 그가 완전히 같은 편일 수가 없었다. 현 정부를 반대하는 이들에게는 이러한 처세는 객관적인 것으로 보였을 것이고, 여당의 둘레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개혁과 실천을 약속한 박 당선인의 전략은 당내 지지자들을 끌어안기에 충분했다.
지금 한국의 언론들은 박근혜 후보의 당선을 축하하는 것보다는 국민 대통합을 위해 탕평인사를 단행하고, 정치권을 뜯어고쳐야 하며, 세계 경제위기 속에서 한국 경제 정책을 강화하고, 국민 복지 수준을 높여야 하며, 장거리 미사일과 핵으로 무장하려는 북한에 대한 대책방안을 새로 수립해야 한다는 등등 이것저것 해야 할 일들을 나열해 놓기에 급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박근혜 후보는 이런 것들을 이미 다 알고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우선 과제가 자신의 경쟁자에게 표를 던진 1500만 명의 국민의 마음을 끌어안는 일임도 알고 있을 것이다. 반대파들에게 박근혜 당선인을 우리 대통령이라고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 국민 대통령이 되는 첫걸음이라는 것도 알고 있을 것이고, 그의 머리 속에는 앞으로 해야 할 일이 이미 빼곡히 들어차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 우리 국민들에게 필요한 것은 요구와 질타보다는 그를 지켜봐 줄 수 있는 인내와 믿음이다. 한국 사람들은 아무리 옳은 일이라고 해도 그 일을 하고자 하는 사람이 싫으면, 무조건 반대부터 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일의 진척을 위한 반대가 아니라, 무조건 반대만 하는 이들이야말로 새 시대를 열어야 하는 대한민국의 공공의 적이 아닐까.
박 당선인은 5,6,7,8,9대 대통령을 지낸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이다. 중, 고교, 대학 학창 시절을 청와대에서 보냈다. 그 시대의 영광과 좌절, 그 시대의 빛과 어둠을 가까운 데서 보고 체험했다. 권력의 희로애락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직접 체험한 만큼, 나라를 잘 이끌어야겠다는 각오 또한 남다를 것이다. 33년만에 청와대에 재입성하면서 더 이상 과거의 상속자가 아니라 미래의 선두주자가 되어 민주적 리더십과 미래지향적 리더십을 보여 주길 바란다.
필자는 그의 호칭 앞에 굳이 ‘여성’ 이라는 말은 쓰고 싶지 않다. 이번 대선 때 그의 참모진들과 그를 지지해준 폭넓은 국민층을 살펴보더라도 여성이라는 단어는 박 당선인에게 부족해 보인다. 당당한 대통령으로서 우뚝 서길 바란다. 그리고 대한민국 헌정 사상에 큰 획을 긋게 될 그에게 축하의 꽃다발을 전하고 싶다. <편집국장 김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