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교과서, 일본의 세뇌 전략

2025-04-04     weeklyfocus

 일본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상당수에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라는 억지 주장이 게재되어, 내년 봄부터 학생들에게 가르칠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주  일본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검정 조사심의회 총회를 열어 일선 고등학교가 2026년도부터 사용할 교과서 심사 결과를 확정했다. 검정을 통과한 사회과 교과서는 지리총합(종합) 7종, 역사총합 11종, 공공 12종, 정치·경제 1종 등이다. 공공은 사회 체제와 정치, 경제 등에 관한 과목이다. 지리·역사와 공공 교과서 모두에 독도를 넣었고,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기술이 검정을 거쳐 추가되었다. 아울러 정치·경제 교과서에서 “한반도에서 일본에 연행됐다”는 부분은 검정을 통해‘연행’이 ‘동원’으로 바뀌었다. 

새로운 고교 사회과 검정 교과서 대부분에는 4년 전 검정을 통과한 현행 교과서처럼,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 정부의 억지 주장이 그대로 실렸다. 앞서 일본 정부는 2018년 3월 고시한 고교 학습지도요령에서 독도가 일본의 고유한 영토이며, 영유권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점을 다루게 한 바 있다. 현행 제국서원 지리총합 교과서에는“한국은 1952년 해양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며 일방적으로 공해상에 경계선을 그어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명칭)를 불법 점거하고 있다”는 식의 왜곡된 역사 인식이 담겼다. 

일본 교과서에서 독도에 대한 억지 주장은 고교뿐만 아니라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과서에서도 강화되고 있다. 2023년 검정을 통과한 도쿄서적의 초등학교 지도 교과서에서 독도 관련 기술 중 기존 “한국에 점거돼 일본은 항의하고 있다”를 “한국에 불법으로 점거돼 일본은 항의하고 있다”로 교체했다. 이렇게 일본은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독도를 야금야금 먹어오더니, 급기야 교과서를 통해 2세들을 세뇌시키는 전략을 세운 것 같다.

일본 정부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한 고교 교과서를 검정하고 외교청서를 발표하는 등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독도 도발을 감행하고 있다. 독도뿐 아니라 ‘동해 East Sea’ 표기에 대한 논쟁도 여전하다. 하지만 이는 우리 측만 논쟁이지, 대외적으로는 이미 ‘일본해 Sea of Japan’로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일본 측은 논쟁이 끝났다고 여길 것이다. 다시 말해, 동해에  이어 독도도 일본 땅으로 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이럴 때마다 한국 정부는 마이크 앞에 서서 “유감이다, 망언이다” 라는 힘없는 말만 되풀이 할 뿐 단호한 조치를 해 본 적이 없다. 대통령이 있었을 때도 그랬고, 없는 지금도 별반 차이가 없어보인다.

봄의 기운이 완연한 춘삼월이 지나고, 완전한 봄의 계절 사월을 맞는다. 주변의 나무들이 꽃봉오리를 맺고 기지개를 펼 준비를 마쳤다. 그런데 이 중 유독 봄과 어울리는 꽃이 벚꽃이다. 113년 전, 일본인들은 미국과의 우정을 기념하기 위해 수도인 워싱턴 D.C.에 벚꽃 3,020그루를 기증했다. 당시 대통령 영부인이었던 테프트 여사와 일본 대사 부인은 처음 두 그루의 나무를 워싱턴 D.C. 티달 베이신 북쪽 뚝에 심었다. 그 두 그루의 나무는 아직도 그 자리에 있다. 이 벚꽃 기증을 계기로 해서 전국적으로 벚꽃 축제가 열린다.  덴버 역시도 매년 벚꽃 축제를 성대하게 열고 일본과 미국의 우정을 기념하는 벚나무 식수 행사를 한다. 지난 해에도 1백여 명이 삽을 들고 벚나무를 심기 위해 덴버 다운타운에 위치한 센터 공원을 찾았다. 지역 정부 대변인들과 지역 일본 관련 기관에서 먼저 심은 후 일반 시민들이  심기 시작했다.  몇 해 전에는 이 행사에 일부 한인들이 참석해 덴버 포스트지에 이름과 사진이 실렸었다. 어떤 행사인지도 모르고, 어떤 의미인지도 모르지만, 사진찍는 것에 몰두한 비상식적인 인물들이 아닐 수 없다. 분통터지는 한일관계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자원봉사를 할 요량이면 한인사회를 위한 일을 찾아볼 것이지, 일본을 위한 벚꽃나무 심기행사에 삽을 들다니, 그야말로 아스팔트 위에서 삽질을 한 것과 다름없어 보였다.

목포는 항구다, 한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독도는 우리땅 이라는 당연한 사실을 가지고 왈가왈부 한다는 것이 어째 내키지 않았다. 하지만 턱도 없는 얘기라고 안심하고 있었던 사이 일본의 만행은 최근 몇 년 사이 수위를 더욱 높여 집요할 정도로 독도를 넘어 동해까지 탐했다. 숟가락을 숟가락이라 하지 않고, 포크라고 우기는 사람들과 맞서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일까. 처음에는 일본의 의중(意中) 대로, 독도를 분쟁 지역으로 만들어 국제 재판소까지 갈 필요가 없다는 시각이 지배적이었다. 미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가 독도에 대한 분쟁을 인식한 지 오래다. 하지만, 우리가 꾸준히, 강경하게 대응하지 않으면 미국을 비롯한 세계는 이또한 관심 밖의 일이다. 

동해까지 일본해로 적혀진 지 오래다. 가만히 두고 볼 일만은 아니다. 지금까지 한국은‘진실은 스스로 밝혀진다’는 소극적 태도를 유지하며 대응에 미흡했다. 조용히 대처하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하는 동안 독도와 동해는 일본 땅이 되고 있다. 이제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국제법 차원에서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 국민들은 더 이상 동네북처럼 두들겨 맞아 온 역사가 자랑스럽지 않다. 이런 이유에서 명확한 일본 영토에‘한국령’ 글자가 찍힌 지도를 만들어 배포하자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독도 문제와 동해 표기 문제는 단순한 영토 분쟁이 아니다. 이는 역사적 사실을 왜곡하려는 시도에 대한 대응이며, 우리의 정체성과 직결된 문제이다. 이제는 단순한 감정적 대응을 넘어,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할 때이다. 독도와 동해를 놓치고 아스팔트 위에서 삽질한 후회를 하지 않도록, 꼼꼼한 대응과 강력한 국제적 방안이 절실하다.                

<발행인 김현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