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텔·여행 업계도 둔화 … 부익부 빈익빈

저소득층 소비여력 바닥

2024-08-16     weeklyfocus

  경기침체 진입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팬데믹 종료 이후 ‘보복소비’로 활황을 이뤘던 여행 업계가 업황 둔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월스트릿저널(WSJ)이 1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주요 호텔·여행 기업들은 2분기 실적발표에서 소비자들의 여가 수요가 무기력해졌다고 공통으로 지적했다. 온라인 여행정보·예약대행 업체 익스피디아를 비롯해 메리어트, 에어비앤비, 힐튼 등 주요 호텔·여행 업체의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부진’(softness)이란 용어가 총 16차례나 등장했다고 WSJ은 전했다. 여가 소비 둔화는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에서 동시에 벌어지고 있다. 소비 여력이 있는 고소득층의 경우 미국 밖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는 경우가 늘었다는 게 여행업계의 설명이다. 저소득층은 이미 여름휴가에 돈을 쓸 여력이 바닥난 상황이라는 게 여행 업계의 판단이다. 고소득층은 외국으로 떠나고 나머지 국내 여행객들은 비용 절감을 추구하고 있다 보니 여행 업계로선 타격이 불가피해진 상황이다. 호텔·여행 업황은 향후 소비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된다는 점에서 경제 전문가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지점이다. 대부분 소비자가 주거비와 식료품비 등 필수 품목 지출을 하고 난 뒤 여름 휴가비로 얼마를 쓸지를 결정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