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빈 홍씨에게 첫날 밤 소박이라는 치욕을 안겨준 정조

 세도가였던 홍국영의 여동생 원빈 홍씨에게 첫날 밤 소박이라는 치욕을 안겨준 정조. 정조 임금은 24년이라는 재위기간에 비해 자녀가 매우 귀한 편이었다. 효의황후와 원빈 홍씨에게서 자녀를 얻지 못한 정조는 정조 4년(1780)에 화빈 윤씨를 후궁으로 맞아들였지만, 실록에서는 화빈이 임신을 했기 때문에 산실청을 설치했다고만 기록했을 뿐 그 뒤에 어떻게 되었는지는 알려주지 않고 있다. 뭔가 잘못된 모양이다.
의빈 성씨의 경우에는 문효세자와 옹주 하나를 낳았지만, 아들은 다섯 살 때에 홍역으로 사망하고 딸은 생후 1년도 안 되어 죽고 말았다. 원빈, 의빈 외에도 여러 명의 후궁들을 맞아들였지만, 그들에게서도 별다른 소식을 들을 수 없었다. 정조 14년인 1790년에 순조가 태어나기 전까지 정조는 계속해서 심각한 '자식 가뭄'에 시달리지 않으면 안 되었다.

  여러 명의 후궁을 두고도 2남 2녀밖에 못 낳았을 정도로, 게다가 그중 1남 1녀는 일찍 사망했을 정도로 정조는 자식이 매우 귀한 임금이었다. 사실, 정조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많은 왕들이 자식 가뭄, 즉 후사 문제로 골머리를 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오늘날처럼 선거를 통해 후계자를 결정하지 않고 왕이 후계자를 직접 생산하지 않으면 안 되던 전통시대의 산물이었다. 건국 초기의 활력, 공신들과의 다중적 정략결혼 등이 원인이 되어 통치자 한 명이 수십 명의 자식을 낳기도 했던 조선 초기와는 달리, 후대로 가면 갈수록 조선왕실에서는 자손을 보기가 점차 힘들어졌다.

  왜 왕들은 자녀를 많이 낳지 못한 걸까? 조선 팔도에서 올라온 온갖 진귀한 음식을 매일 먹으면서, 또 후궁 외에도 수많은 궁녀들을 옆에 끼고 살면서 왜 자식들을 '팡팡' 낳지 못한 걸까? 많은 사람들이 그런 의문을 갖고 있다. 여기에는 여러 가지 원인이 있는 듯하다. 궁궐이라는 환경 자체가 왕의 자녀가 무사히 태어나기에는 정치적으로 매우 위험한 곳이었다는 점, 왕들이 바쁜 공무로 인해 육체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시달렸다는 점 등을 대표적으로 거론할 수 있을 것이다. 각종 의식에 참석하고 수많은 사안들을 처리해야 할 뿐만 아니라 혹시라도 있을지 모르는 군사반란도 예방해야 하기 때문에, 단 하루도 편히 쉴 틈이 없었다고 해도 결코 과언이 아닐 것이다. 옛날 왕들은 그런 생활을 5년도 아니고 죽을 때까지 했으니, 거기서 받는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니었을 것이다. 게다가 즉위하기 전부터 오랫동안 그런 연습을 하며 살았으니, 그들은 이미 상당히 지친 상태에서 왕위에 올랐을 것이다.

  왕들이 자식을 많이 못 낳은 이유를 정확히 해명하기는 힘들겠지만, 우리는 위와 같은 왕들의 '직업병'과 그들의 생식능력 사이에 일정 정도의 인과관계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정조 임금은 어릴 때부터 막중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았던 임금이다. 그리고 군주가 된 뒤에는 역대 어느 왕보다도 바쁘고 고된 나날을 보내야만 했다. 항상 공문서를 읽든가 아니면 책을 읽든가 하는 사람이었다.  평생 그렇게 바쁘고 고되게 살았으니, 그 몸이 온전할 리 없었을 것이다. 49세의 젊은 나이에 사망한 걸 보아도 그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바쁘고 고된 삶을 산 정조 임금. 그가 중전 외에 여러 명의 후궁을 두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자녀 가뭄에 시달린 것을 보면, 그 원인은 아무래도 여자 쪽이 아닌 남자 쪽의 건강문제에 있었다고밖에 볼 수 없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정조의 고민, 이런 왕실의 고민을 '한 큐'에 해결해준 여자가 있었다. 정조의 또 다른 후궁인 수빈 박씨(1770~1822년)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좌찬성 박준원의 딸로서 정조 11년(1787)에 후궁이 된 그는 입궁 3년 만인 1790년에 아들(순조)를 낳아 왕실의 대통을 잇는 데에 성공했다. 그리고 그는 숙선옹주라는 딸도 낳았다. 스물다섯 살의 정조가 즉위하던 해에 겨우 일곱 살에 불과했던 수빈 박씨가 훗날 궁에 들어가 정조의 소원을 성취해준 것이다.

  아들이 왕이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수빈 박씨에 대한 실록의 평가는 매우 좋은 편이다. 그런 점을 감안한다 해도 수빈 박씨는 상당히 존경받는 인물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평소에 입이 무겁고 또 매우 검소했다고 한다.  아무튼 정조의 후사 문제는 정조가 집권 중반기에 들어선 이후에 수빈 박씨에 의해 '명쾌하게' 해결되었다. 의빈 성씨가 낳은 문효세자는 어린 나이에 죽었으므로, 정조와 조선왕실의 고민거리를 해결해준 구원투수는 결국 수빈 박씨라고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