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외 나머지 학업 프로파일 만들기 전략

    확실한 내신 성적으로 무장해도 원하는 대학 들어가기가 힘든 지금, 고교 성적표에 B학점이 군데군데 눈에 띠는 학생들은 어떡해야 할까. 사실 몇 개의 B학점을 받은 학생들도 명문대에 들어갈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것은 내신 성적 외 나머지 학업 프로파일을 어떻게 만들었는가에 달려있다. B학점을 받은 학생들의 명문대 입학 전략을 살펴본다.

▲언제 B학점을 받았는가?
    대입 사정관들은 지원자가‘언제 B학점을 받았는가’를 주시한다. 많은 학생들이 알고 있듯 대입 전형에서 9학년의 B학점은 11학년의 B학점 보다는 관대하게 받아들여진다. 이런 점에서 9학년 때 하나 혹은 두 개정도의 B학점이라면 대입 사정관들이 아예 외면하지는 않을 것이다. 같은 맥락으로 특정 학기의 성적이 가족의 우환 혹은 사망과 같은 불가피한 이유로 크게 떨어졌다면 이를 공통지원서의 추가 정보 섹션을 이용하거나 대학 카운슬러를 통해 설명하는 것이 좋다. 현실적으로 11학년 때 모든 과목에서 B를 받는다면 탑 스쿨에 진학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사정관들은 성적의 트렌드도 중시한다. 고교 과정에서 가장 쉬운 9학년 때 최고의 성적을 받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 학년이 올라갈수록 얼마큼 더 나아지고 있는지가 입학사정관들이 중점을 두고 보는 부분이다.

▲어떤 수업에서 B를 받았나
    예를 들어보자. 건강과목에서 B 학점을 받는 것과 AP 클래스의 미적분에서 B 학점을 받은 것은 사정관이 판단하기에 완전히 다른 의미다. 대입 전형에서 내신성적을 평가할 때는 학교에서 제공하는 수준 높고 도전적인 수업들, 예를 들면 AP나 IB, 어너 클래스 등을 얼마나 많이 수강했는가를 중시한다. 어려운 AP 수업으로 인해 B학점을 받을 수 있지만 이는 쉬운 과목만 잔뜩 들어 올 A를 만드는 것도 보다 가치 있을 수 있다.

▲시험점수
    한 학생이 AP 미국사 과목에서 B학점을 받았다고 실망할 필요는 없다. 내신 성적은 좋지 않았지만 AP 시험에서는 5점을 받고 SAT 과목 시험에서 800점을 받았다면 상황은 반전될 수 있다. 대입 사정관들은 이 지원자가 미국사에 대해 열정을 갖고 완전히 마스터했다고 평가할 것이다. 이 시험점수는 입학사정관이 혹시라도 가질지 모르는 학생의 자질과 관심에 대한 의구심을 불식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추천서에 뭐라고 쓰여 있나?
    낮은 내신 성적을 극복하기 위해서 그 수업을 가르치는 선생님에게 추천서를 부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만약 그 과목을 위해 최선을 다했고 추가적인 노력을 했고 방과 후에 선생님을 만날 정도로 진정한 관심을 보였다면 그 선생님은 추천서에 정성을 기울여 학생의 자질에 대해 자세하게 작성해 줄 것이다.

▲GPA는 급우와 어떻게 비교되나
    작성된 대입원서를 클릭하는 순간 원서는 그 대학의 입학사정처에서 지역별로 분류된다. 입학사정관들은 이 중 ‘베스트’를 찾게 되는데 같은 기회와 조건을 가진 학교내 다른 학생과 비교해 어떤 성적을 받았는지를 상대 평가하게 된다.

▲교실 밖에서는 무엇을 했나
    내신 성적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큰 틀에서는 대입 전형의 퍼즐 중 한 조각일 뿐이다. 아이비리그를 비롯 많은 명문대들은 대입 전형에서 단순히 성적이 우수한 학생만이 아니라 비판적 사고력을 갖고 있고 배움의 열정이 있고 지역사회를 위해 무엇인가를 하는 학생들을 눈여겨 본다.

▲자신의 지원서를 되돌아보라
    대입전형에서 원하는 대학의 합격장을 받기 위해서는 퍼펙트한 GPA와 확실한 SAT 점수를 가진 수천명의 지원자와 경쟁을 하게 된다. 결국 이런 경쟁 속에서 자신을 차별화하기 위해서는 사정관의 눈길을 끌만한 독특하고 매혹적인 스토리가 필수다. 고등학교 내신성적이 그저 그렇다면 최고 수준의 차별화된 지원서를 만들어야 한다. 시간을 내어 지원서의 들어갈 만한 액티비티를 계발하고 사정관을 설득력할 만한 자소서도 작성한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