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왕실의 해리(33) 왕자와 미국 배우 출신 메건 마클(35·왼쪽)의 결혼식이 오는 19일로 예정된 가운데 영국 흑인 사회가 왕실에 대해 이전에 없던 큰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왕실의 새 며느리가 흑인과 백인의 혼혈이라는 점 때문이다. 런던 남동부의 흑인 거주지역 뉴크로스에 사는 소녀 셰고 렝골로(11)는 요즘 자신의 미래에 대해 어렴풋하지만 희망을 가지게 됐다. 자신처럼 아프리카인의 피가 흐르는 마클이 왕실 가족이 되는 것을 보면서 흑인에 대한 사회의 처우가 예전과 달라질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영국의 백인들은 인종차별 문제가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다고 하지만 흑인들은 계속해서 인종차별 문제와 싸워 왔다. 왕실 결혼식에 대해서도 “브렉시트 시대 영국의 반이민주의, 토착주의로부터 비롯된 오락거리”라고 이야기하는 흑인들이 여전히 많다. 끊임없이 인종차별주의자들의 괴롭힘을 받아 온 흑인들은 왕실에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영국 인구의 87%는 백인이다. 흑인 인구는 3%에 불과하다. 그러나 렝골로는 새로운 흥분에 가득 차 있다. 마클이 선천적으로 곱슬머리인지, 결혼식에서 DJ가 힙합 음악을 틀지, 마클이 언제 아기를 낳을지를 궁금해 하고 있다. 특히 마클의 아기 피부가 검은색이길 바라고 있다. 렝골로는 뉴욕타임스(NYT)에 “인종차별주의자들도 이젠 어쩔 수가 없을 것”이라며 “모두가 그녀를 평가하려 들 것을 알면서도 첫발을 내디딘 마클은 용감한 사람”이라며 “그녀에게 ‘사람들이 당신을 훼방하지 못하게 하라’고 얘기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스트런던대 범죄학자 앤서니 군터는 “이전에는 왕실 가족에 대해 전혀 관심이 없던 많은 흑인 친구들이 마클에 대해서는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 해리 왕자와 마클의 결혼식 설교자로는 미국 성공회 교회의 최고지도자인 마이클 커리(65) 의장주교(Presiding Bishop)가 선정됐다고 켄싱턴궁이 발표했다. 커리는 2015년 성공회 교회 사상 최초의 흑인 의장주교에 임명됐다.

경제발전 성공한 독재국 싱가포르 … 김정은에 영감 주나

    싱가포르는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북한이 처음부터 선호했던 곳이 아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접근 가능한 제3국 중에서 인프라 시설이 잘 갖춰진 곳이라는 이유로 미국이 밀었던 곳이다. 김 위원장은 싱가포르를 가 본 적이 없다. 내달 12일 열리는 북미정상회담이 김 위원장의 첫 싱가포르 방문이다. 싱가포르의 눈부신 경제성장 결과를 김 위원장이 눈으로 직접 보게 되면, 북한의 경제발전 모델에 어떤 식으로든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싱가포르는 정치적으로 독재정권을 유지하면서 경제성장을 성공한 이례적인 모델이다. 김씨 일가가 북한을 통치하는 것처럼 싱가포르 역시 린콴유 전 총리 일가가 대를 이어 싱가포르를 다스린다. 리 전 총리가 타계한 이후 리 전 총리의 장남인 리센룽이 총리 자리를 이어받았다. 아들 리 총리는 32세의 나이 때부터 국무장관에 오르는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싱가포르도 외형상 선거를 치르고, 정당과 의회가 존재한다. 하지만 속내는 1인 가족 독재다. 의회는 사실상 정권의 거수기 노릇에 불과하다. 북한처럼 노골적인 세습정치가 이뤄지고 있는 곳이 싱가포르다. 싱가포르의 경제체제도 서구식 모델과 차이가 있다. 싱가포르는 경제개발 분야에서도 정부의 주도권을 유지하는 모델이다. 사회주의 경제모델처럼 정부가 직접 사회 곳곳을 직접 관리하고 운용한다. 특히 싱가포르 최대 기업인 국영투자회사 테마섹의 최고경영자(CEO)도 리 총리의 부인인 호칭 여사가 맡고 있다. 리 총리 가족이 정부권력과 경제권력을 모두 독점하는 구조다. 김 위원장은 북한을 ‘가난한 나라’라고 말했다. 그는 핵을 포기하는 북한을 잘 사는 나라로 만들겠다는 목표가 뚜렷하다. 그럼에도 자신의 지배체제가 흔들리는 건 원하지 않는다. 김 위원장에게 성공적인 경제성과를 보여준 독재국가 싱가포르는 집중적인 탐구 대상이다. 제로 북한은 싱가포르의 경제모델을 연구해왔다. 지금은 처형된 김정은 위원장의 고모부 장성택이 2002년 경제시찰단을 이끌고 서울,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중국과 함께 찾았던 곳이 바로 싱가포르다. 정부 한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의 야경을 직접 눈으로 본다면 여러 가지 생각이 들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기업 10곳 중 2곳, 정년‘65세 이상’으로 늘려

    최근 일손 부족이 심각해진 일본에서 정년을 65세 이상으로 연장한 기업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산케이신문은 최근 후생노동성 조사에서 정년을 65세 이상으로 올린 기업이 17.8%에 달해 2005년(6.2%)의 3배 가까이로 늘었다고 13일 보도했다. 신문은 “인재를 확보하고 싶어 하는 기업과 가능한 한 오래 일하고 싶다는 시니어 세대의 의욕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서비스업이 29.8%로 가장 높았으며 운송·건설, 의료·복지 등도 20%를 넘었다. 자동화가 어렵고 사람의 손이 필요한 분야이다 보니 일손 확보 차원에서 정년 연장에 나서는 것이다. 실제로 홋카이도 삿포로시의 운송회사는 지난해 10월부터 80세 정년 제도를 도입해 화제가 됐다. 정년 상한을 없앤 기업도 나타나고 있다. 다이와증권은 “시니어 세대에 대한 영업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며 지난해 6월부터 영업직의 정년을 없앴다. 고령·장애·구직자 고용지원기구가 지난해 12월∼올해 1월 65세 이상으로 정년을 연장한 184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정년 연장 이유(복수 응답)로는 ‘인력 확보’가 75%로 가장 많았다.

키위 대국 뉴질랜드“키위 딸 일손이 없네”

    ‘키위 대국’ 뉴질랜드가 키위 농가에 일손이 부족하자 관광객까지 활용하기로 했다. 관광 비자로 입국한 외국인이 키위 농장에 취업하는 것을 제한적으로 허용한 것이다. 뉴질랜드 사회개발부는 지난 7일(현지 시각) 북섬 해안가의 ‘베이 오브 플렌티’ 지방에 대한 ‘계절적(seasonal) 노동력 부족 사태’를 공식 선언했다. 이에 따라 5월 7일부터 6월 8일까지 관광비자를 소지한 외국인도 한시적인 취업 비자를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이 비자로는 6주일 동안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의 키위 농장이나 키위 포장 공장에서만 일할 수 있다. ‘베이 오브 플렌티’는 뉴질랜드 최대 키위 산지로, 세계 최대 키위 브랜드 ‘제스프리’의 본사도 여기에 있다. 이 지역에 수확철 노동력 부족 사태가 선언된 것은 2004년 이후 14년 만이다. 중국 등 세계 각국에서 키위 수요가 늘어나 올해 생산량은 전년보다 19%나 늘어났는데, 키위를 딸 일꾼이 턱없이 부족한 탓이다. 베이 오브 플렌티 지역 농가들은 “당장 키위 수확 일꾼 1200명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정은, 스위스 유학 때 식은 스파게티 나오자‘버럭’

     지난달 27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정상회담이 생중계되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일거수일투족이 처음으로 상세하게 전 세계에 소개됐다. 올해 34세인 김 위원장의 말투와 필체를 놓고 국내외에서는 청소년기 스위스 유학 시절의 영향이 드러났다는 반응이 나왔다. 김 위원장은 방명록에 날짜를 쓰면서 숫자‘7’의 가운데에 선을 그었다. 유럽 등에서는 숫자 ‘1’과 ‘7’을 구분하려고 7 가운데에 선을 긋는다. 김 위원장의 말투가 예상과 달리 북한 억양이 강하지 않고 사용하는 어휘도 남한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도 이목을 끌었다.
농구공 안고 자고 007영화· 레고 즐겨
농구광으로 미 프로농구(NBA)의 ‘악동’ 데니스 로드먼을 수차례 평양에 초대했던 김 위원장은 문재인 대통령에게 남북 스포츠 교류와 관련해 서울과 평양을 오가며 열렸던 ‘경평 축구’ 대회보다 농구부터 하자고 말했다. 김 위원장이 농구에 빠져든 것은 스위스 베른 유학 시절이다. 1998년 미국으로 망명한 김정은의 이모 고영숙과 그의 남편 이강은 워싱턴포스트(WP) 인터뷰에서 92년 김정은의 형 김정철을 데리고 베른에 도착했다고 밝혔다. 김정은은 96년에 합류했다. 김정은은 농구를 시작한 이후 완전히 빠져들었다. 키가 작았던 김정은에게 어머니 고용희는 농구를 하면 키가 클 거라고 말해 줬다고 한다. 이모 고씨는 “(정은이가) 농구공을 껴안고 잠들곤 했다”고 전했다. 김정은의 베른 학교 동창으로 포르투갈 외교관 아들이었던 조엘 미카엘로는 텔레그래프와 인터뷰에서“우리는 오후에 농구를 즐겼고 NBA 리그를 TV로 보는 데 상당한 시간을 쏟았다”고 말했다. 미카엘로에 따르면 김정은은 청룽과 제임스 본드의 영화를 좋아했고 북한의 국가를 늘 틀어 놓았다.
미국 문화 빠져 … 김정일이 전학시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김정은을 사립학교에서 공립학교로 옮긴 것은 비싼 학비에도 불구하고 학업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이유가 있었지만 미국 문화에 너무 빠져들었다는 점도 영향을 미쳤다고 외신은 분석했다. 베른 시절 김정은과 형제들은 서방 문화를 한껏 경험한 것으로 보인다. 이들을 돌본 고씨 부부는 김정은 등을 프랑스 파리에 있는 디즈니랜드에 데려갔다. 고씨 부부를 인터뷰한 WP는 고씨의 앨범에 김정은 등이 스위스 알프스에서 스키를 타거나 프랑스 지중해 해변에서 수영하는 사진 이탈리아에서 유명한 알 프레스코 레스토랑에서 식사하며 찍은 사진 등이 가득하다고 소개했다. 김정철이 2011년과 2015년 싱가포르와 영국 런던에서 에릭 클랩턴의 공연을 관람하는 장면이 포착된 것도 유학 시절 서방의 문화를 접한 탓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수학 잘했지만 영어는 보충수업
선데이타임스는 김정은이 공립학교로 전학한 첫날 나이키 운동화를 신고 시카고 불스 상의에 진을 입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국제학교 시절의 한 남자 동창은“그의 영어 실력이 처음에는 형편없어 추가 강의를 들어야 했다”며 “독일어도 배웠는데 영어는 점차 나아졌지만 독일어는 그렇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2013년 로드먼 선수와 만나 영어로 대화를 나눴다는 소식이 전해져 화제를 낳기도 했다. 김정은은 수학은 잘했지만 다른 과목에서는 추가 수업을 받곤 했다고 한다. 공립학교 시절 김정은의 책가방에서 포르노 잡지가 발견된 적이 있다고 선데이타임스는 보도했다. 미카엘로는“주말이면 파티가 열렸다. 미성년이었지만 술을 마시는 경우도 많았는데 김정은은 술을 한 방울도 입에 대지 않았다”며“여자 친구들은 관심도 없었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