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부터 각종 실책에‘휘청’

    한국 맥도날드가 2010년 들어 연이은 실책으로 위기에 처했다. 최근 한국 철수설까지 나돌고 있다.
◆화려한 데뷔,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지난 30년
맥도날드는 지난 1988년 강남구 압구정동에 1호점을 열며 한국 시장에 처음 발을 내디뎠다. 한국 상륙을 위해 공을 들이기 시작한 것은 80년대 초반부터다. 하지만 미국 본사 측이 요구한 10년간 순매출액의 5% 로열티와 감자와 육류 공급 문제 등을 둘러싸고 정부 측과 갈등을 빚어 어려움을 겪었다. 문제 해결을 위해 1986년 공인회계사 안효영씨와 함께 각각 100만달러를 투자해 합작회사 ‘맥안산업’을 만들어 정부와 협상에 나섰다. 햄버거 패티의 원료를 국내에서 조달한다는 약속을 한 뒤에야 협상이 이뤄질 수 있었다.  1호점이 문을 연 후 매장은 더 늘었다. 1988년 9월 종로2가 태극당 자리에 2호점을 열었고 그 해에만 햄버거 100만 개를 판매해 1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이후 맥도날드는 중부지방과 남부지방에 각각 ‘신맥’과 ‘맥킴’이라는 합작회사를 만들고 전국적인 점포 확장에 나섰다(현재 신맥과 맥킴은 2016년 9월 28일자로 한국맥도날드로 흡수합병됐다). 업계 라이벌이자 한국 시장 선두주자인 버거킹의 사업 확장을 견제하기 위함이었다.
◆ 연이은 실책에 타격 받은 맥도날드
성공 가도를 달리던 한국맥도날드가 흔들린 것은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다. 우선 각종 프랜차이즈들이 범람한 탓이 컸다. 2011년부터 2014년까지 불과 3년 사이 국내에 1,942개에 불과하던 외식 브랜드 수는 3,142개로 훌쩍 늘었다. 한국맥도날드의 수익성은 급격히 떨어졌다. 롯데리아, 버거킹 등 경쟁 업체들의 고전도 마찬가지였지만 한국맥도날드 추락 폭이 유독 컸다. 한국 맥도날드는 달라져야 했다. 수익성이 악화된 2014년부터 한국맥도날드는 가맹점 수를 늘려 외적 확장과 수익성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으려고 했다. 당시 15.4%에 불과했던 가맹점 비율을 현재 25%까지 끌어올린 때가 바로 그 시점이었다.
◆ 이미지 악화에도 오로지 수익성 생각
또한 한국맥도날드는 일부 햄버거의 빵을 저가형으로 교체했다. 1955버거는 ‘1955 전용 번’에서 ‘쿼터 번’으로 교체됐고, 불고기 버거와 더블 불고기 버거도 각각 ‘쿼터 번’과 ‘레귤러 번’으로 변경했다. 맥도날드 번은 최상급인 ‘브리오슈 스플릿 번’, ‘1955 전용 번’, ‘빅맥 번’, ‘콘밀 번’, ‘쿼터 번’, ‘레귤러 번’ 등으로 등급이 나뉘며, 레귤러 번은 주로 저가형 버거에 자주 사용된다. 출시부터 지금까지 고객의 사랑을 받아온 메뉴들도 수익성이라는 이름 아래 사라졌다.
◆ 한국‘철수설’까지 나돌아
연이은 악재 속에 한국맥도날드 ‘철수설’까지 돌고 있다. 한국맥도날드는 지난 2월 말 공정거래위원회에 정보공개서 등록을 자진 취소했다. 정보공개서는 관련법에 따라 프랜차이즈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사업자가 공정위에 필수적으로 제출해야 한다. 정보공개서 등록을 자진 취소했다는 것은 앞으로 한국맥도날드가 가맹사업에서 완전히 손을 떼겠다는 이야기다. 2014년 가맹사업 ‘확대’ 방침을 내세운 지 3년 만이다.
가맹점 확장이 어려워지면서 직영점 의존도가 올라갔다. 수익을 내기 위해서는 직영점에 대한 관리·감독이 철저해지고 유지에 열을 올려야 하지만 오히려 폐점하는 점포 수만 늘고 있다. 지난해 7개 매장이 폐점하고 18개 매장이 문을 열었던 한국맥도날드는 올해만 20개 매장이 문을 닫았다. 한쪽에서는 한국맥도날드가 피자헛의 전철을 밟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 1년, 고공지지율 떠받치는‘4개의 기둥’
86.3% 등 취임 1년 지지율 역대 최고

▶ 성공적 남북 정상회담‘80% 벽’ 뚫어
▶ 촛불혁명 뒤 역전된 보수·진보 지형
▶ 소통.겸손.안정감 … 문 대통령 ‘개인기’
▶ 신뢰감 주지못한 보수야당의 지리멸렬

    문재인 대통령의 취임 1년 지지도는 역대 최고다. 취임 초 정점을 찍은 뒤 낙하하는 패턴을 문 대통령이 깨고 있는 것이다. 성공적인 남북정상회담은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80%를 돌파한 데 결정적인 구실을 했다. 정상회담 뒤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대통령의 지지율은 10% 포인트 안팎으로 뛰어올랐다.  그러나 대통령의 지지도는 남북정상회담 전에도 내내 70%대 안팎을 유지했다. 문 대통령 지지율이 가장 낮았던 2월1주(63%·한국갤럽 주간조사 기준)는 평창 겨울올림픽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논란이 벌어졌을 때다. 하지만 평창 겨울올림픽이 성공리에 마무리되면서 문 대통령 지지율은 다시 70%대로 올라섰다. 문 대통령의 탄탄한 지지율 ‘비결’은 촛불혁명 이후 변화된 한국 사회의 보수, 진보 지형이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한국갤럽은 지난해 11월에 한 한국사회통합실태조사에서 자신이 보수라고 답한 사람이 2016년 26.2%에서 21%로 줄어든 반면, 진보라고 답한 사람은 26.1%에서 30.6%로 늘어났다고 발표했다. 통상 보수가 진보보다 5~10% 많은 지형이 역전된 것이다.  다수의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의 ‘개인기’도 지지율을 떠받치는 중요한 기둥이라고 분석했다. 허진재 한국갤럽 이사는 “높은 지지율 안에는 문 대통령 개인에 대한 신뢰가 분명히 들어있다”며 “문 대통령은 권위가 있으면서도 자연스럽게 국민과 어울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국민들은 진심이라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유가족을 끌어안고, 8월엔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을 청와대로 초청해 만났다. 문 대통령의 스타일은 보수층에게 김대중 전 대통령이나 노무현 전 대통령보다 훨씬 덜 거부감을 준다는 분석이 있다. 실제 한국갤럽의 5월 첫주 여론조사에서 자신이 보수라고 답한 응답자의 66%, 자유한국당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의 40%, 대구·경북 지역 응답자의 70%가 문 대통령이 잘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왔다. 허진재 이사는 “문 대통령 지지율은 일정부분 감성에 기반했지만, 남북 정상회담에서 구체적인 성과와 능력을 증명하면서 지지율이 더욱 탄탄해졌다”고 말했다. 보수 야당들의 지리멸렬함을 지적하는 분석도 적지 않다. 이상일 입소스코리아 대표는 “정권 평가는 상대적이다. 야당에 매력적인 대안이나 주장이 있으면 정권의 작은 패착에도 쉽게 지지를 바꾼다”면서 “그러나 야당엔 그럴 만한 대안이나 지도자가 전혀 없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문 대통령의 고공 지지율이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바라봤다. 그러나 뚜렷한 성과가 나타나지 않은 경제 민생 정책은 언제든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분석이 있다. 김춘석 이사는 “일자리 문제나 부동산 등을 포함한 경제, 민생 분야의 평가는 박한 편이다. 실적이 나타나지 않는 기간이 길어진다면 지지율이 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