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선권, 비핵화 얘기 나오자 “그만합시다”

    9일 남북 고위급 회담에서 북측 수석대표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은 시종일관 기세등등한 모습을 보였다. 그는 회담 초반에는 “(회담 전체 실황을) 확 드러내 놓고 공개하는 게 어떻겠냐”는 깜짝 제안으로 기선 제압을 시도했다. 그는 큰소리로 자주 웃었지만, 회담 말미에 우리 대표단이 ‘비핵화’ 문제를 언급하자 정색을 하며 “그만 합시다. 좋게 했는데 이거 마무리가 개운치 않게 됐다”고 하기도 했다.

◇리선권 “핵·미사일은 미국 겨냥”

    리선권은 회담에서 “남측 언론에서 고위급회담에서 비핵화 문제가 논의된다는 얼토당토않은 얘기가 있다. 핵 문제가 나와서 말하는데, 우리가 보유한 원자탄·수소탄·대륙간탄도로켓트(미사일)를 비롯한 모든 최첨단 전략무기는 철두철미 미국을 겨냥한 것”이라고 했다. 이에 우리 측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우리 언론에서 비핵화 문제를 거론하는 것은 남한 국민들의 관심을 반영한 것”이라고 하자 리선권은 조 장관을 몇초간 응시하기도 했다. 리선권은 앞서 오전 회담에서는 남북 관계 개선을 언급하며 여유 있는 모습을 보였다. 그는 모두 발언에서 “온 강산이 꽁꽁 얼어붙었다. 어찌 보면 날씨보다 북남 관계가 더 동결 상태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면서 현재 남북 관계를 비유했다. 이어 “자연이 춥든 어떻든 북남 대화와 관계 개선을 바라는 민심의 열망은 비유해서 말하면 두껍게 얼어붙은 얼음장 밑으로 더 거세게 흐르는 물처럼 얼지도 쉬지도 않고, 또 그 강렬함에 의해서 오늘 북남 고위급 회담이라는 귀중한 자리가 마련됐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민심과 대세가 합쳐지면 천심”이라면서 “이 천심을 받들어 오늘 북남 고위급 회담이 마련됐다고 생각한다”고도 했다. 조 장관은 “우리 남측도 지난해 민심이 얼마만큼 강한 힘을 갖고 있는지 직접 체험했다”며 “그런 민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회담을 진지하고 성실하게 잘 임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회담 실황 공개하자 깜짝 제안도

    리선권은 또 “오늘 이 고위급 회담을 지켜보는 내외 이목이 강렬하고 기대도 크다”면서 “확 드러내 놓고 하는 게 어떻겠냐”고 했다. 남북 대화는 모두 발언까지 공개하고 나머지는 비공개로 진행됐는데, 회담 내용 전체를 실황 중계하자고 제안한 것이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할 얘기가 많은 만큼 통상 관례대로 회담을 비공개로 하고 필요하면 중간에 공개회의 하자”고 했다. 북한 전문가들은 “조 장관이 리선권 기습에 순조롭게 대처했다”고 평했다. “리선권은 북한이 통 크게 협상에 나선 점을 부각시키려고 많은 준비를 했을 것”이라며 “실황 중계 시 처음부터 끝까지 북한이 짠 각본대로 흘러갔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조 장관이 “시작이 반”이라면서 속담을 얘기하자 리선권은 “혼자 가는 거보다 둘이 가는 길이 더 오래간다. 마음이 가는 곳에는 몸도 가기 마련”이라고 답했다.

◇대남 라인 핵심 맹경일도 참석

     이날 북한 측에서는 맹경일 통일전선부 부부장(차관급)이 지원단 자격으로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 맹경일은 북한의 대남 공작을 맡고 있는 통전부의 2인자로 알려진 인물이다. 그는 2015년 평양을 방문한 이희호 여사를 직접 수행했고, 2014년 인천아시안게임 당시 북한 황병서·최룡해·김양건 등과 함께 한국을 방문한 대남 라인 핵심이다.

대통령과 같은 이름으로 개명한 한국인?
 ‘재인’이 1위, ‘명박’이 5위 

    대법원에 따르면 2012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85만2614명이 이름을 바꿨다. 이 중 ‘공교롭게’ 역대 대통령과 같은 이름을 쓴 사람은 얼마나 될까.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에 올라있는 이름과 고 김대중 전 대통령부터 현 문재인 대통령까지 5명의 이름을 비교했다. 성은 제외하고 이름만 대상으로 했다. 분석 결과 문재인 대통령과 같은 ‘재인’이란 이름을 선택한 사람은 531명 있었다. 85만2614명 가운데 개명 선호 순위 336위. 역대 5명의 대통령 이름 가운데선 가장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신고지 기준으로 경기와 서울이 가장 많았다. 서울 양천구ㆍ강남구,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순이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94명, 2013년 95명, 2014년 96명이었다. 2015년과 2016년에는 각각 81명과 90명, 지난해에는 10월 말 기준으로 75명이 ‘재인’이란 이름을 선택했다. ‘재인’이란 이름은 비교적 꾸준히 사랑을 받아온 셈이다.  역대 대통령 이름 가운데 개명 선호 순위 2위는 박근혜 전 대통령과 같은 ‘근혜’였다. 151명이 이 이름으로 개명했다. 2013년 2월부터 지난해 초 탄핵 전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던 박 대통령의 이름은 부산(28명)·대구(23명)·서울(20명)에서 사랑받았다. 지역을 세부적으로 나눠보면 더 재미있는 결과가 나온다. 경북 구미(10명)와 대구 수성구(7명), 부산 해운대구(6명)에서 ‘근혜’라는 이름을 선택한 사람들이 가장 많았다. 모두 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텃밭’ 같은 지역이다.  연도별로는 박 전 대통령의 취임 첫해였던 2013년에 29명, 이듬해에는 35명이 이 이름을 선택했다. 2015년에는 19명으로 줄어들었다가 2016년에는 21명으로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에는 10월까지 5명이 ‘근혜’로 개명했다. 다음 순위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같은 ‘무현’(44건)이었다. ‘무현’이란 이름으로 개명한 한국인은 서울(11명)·전남(6명)·부산(6명)에 퍼져있다. 한편 고 김대중 전 대통령과 이름이 같은 ‘대중’으로 개명한 사람은 각 11명, 이명박 전 대통령과 같은 ‘명박’으로 이름을 바꾼 사람은 단 1명에 그쳤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개명 이름
 남자는‘민준’ 여자는‘서연’
2012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많이 바꾼 이름은 민준(남)과 서연(여)이었다. 특히 남자는 전국 어디서든 ‘민준’이라는 이름이 가장 인기가 많았다. 세종시(건우)와 제주특별시(지환)을 빼곤, 전 지역에서 민준이 남자 개명 1위를 차지했다. 민준과 서연 다음으로 한국인이 선호한 새 이름은 남자 ‘현우-지훈’, 여자 ‘지원-수연’ 순이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