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모든 행정력 동원 복구”

           한국 정부는 20일 포항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날 수석 비서관·보좌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관계 장관 회의에서 올라온) 포항시 특별재난지역 지정 건의안을 재가했다”며 “정부는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 신속한 피해 복구와 함께 입시 일정이 차질 없게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피해 복구비 중 지자체 부담액의 64.5%를 국고에서 지원받는다. 피해 지역 주민들은 건강보험료 경감, 통신·전기·도시가스·지역난방 요금 감면, 동원훈련 면제 등의 지원을 받는다. 주택 파손 정도에 따라 최대 6000만원의 복구비를 연 1.5%의 저리로 융자받을 수 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 제도는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를 계기로 도입됐다. 자연 재난으로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을 경우, 시·군·구별 피해액이 국고 지원 기준(18억~42억원)의 2.5배를 초과할 경우 선포할 수 있다. 정부는 ‘선 지원, 후 복구 원칙’에 따라 정식 피해 조사가 완료되기 전이라도 포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포항시에 따르면 20일 오전 10시 기준으로 지진 피해액은 610억3200만원으로 집계됐다. 학교와 항만 등 공공시설은 366건, 498억7900만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주택 등 사유 시설은 5694건, 111억5300만원의 피해를 입었다. 자신이 사는 집(세대)이 지진 피해를 봤다고 신고한 건수는 6232건이었다. 건물이 완전히 무너진 전파(全破) 판정이 140건, 일부 무너진 반파(半破) 판정이 497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문 대통령은 이날 “당장은 피해 복구와 차질 없는 수능 실시가 최우선”이라며 “긴급한 일이 끝나면 안전과 재난에 대한 대비를 전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당장은 피해 복구와 차질 없는 수능 실시가 최우선”이라며 “긴급한 일이 끝나면 안전과 재난에 대한 대비를 전면적으로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또 “23일로 연기된 수능일에도 여진이 있을 수 있다. 정부는 모든 가능성에 대비해 지침을 미리 마련하겠다”며 “수험생과 학부모들께서는 너무 걱정 말고 수능 시험장에서 이뤄지는 조치에 따라주시고 협조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 시 안전요령 숙지하는 게 중요한데, 특히 장소에 따라 안전요령이 달라져 이에 대해 알아두는 게 좋다. 먼저 실내에서는 떨어지는 물건을 막을 수 있는 탁자 아래가 안전하다. 마땅한 곳이 없다면, 방석·이불 등 푹신한 물체로 머리를 보호해야 한다. 흔들림이 멈추면 즉시 건물 밖으로 대피한다. 쓰러진 물건 등에 문이 막히면 건물 안에 갇힐 수 있어서다. 건물 밖으로 나갈 때는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엘리베이터 안에선 모든 층의 버튼을 눌러 가장 먼저 문이 열리는 곳에서 내려 계단으로 이동한다. 건물 밖으로 나오면 가방 등으로 머리를 보호한 후 건물과 멀리 떨어져 있는 공원이나 운동장으로 피한다. 간판이나 조명 등도 아래로 떨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운전 중이었다면, 속도를 줄이다 갓길에 차를 세워야 한다. 대피하는 사람이나 응급차가 지나가는 길을 비워두기 위해서다. 긴급 통행 시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차키를 꽂아 둔 채 메모를 남기고 차에서 내려 대피해야 한다. 부상자를 발견했을 땐 옮기지 말고 그 자리에 부상자를 둬야 한다. 옮기려고 하다 오히려 부상 부위가 더 손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위험한 장소에 부상자가 있다면 부상자의 머리를 고정한 뒤 들것으로 조심히 옮겨야 한다. 담요나 겉옷 등을 덮어 환자의 체온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고 의식이 없는 환자에 물을 먹여선 안 된다.

IMF 20년… 30대 그룹 중 11곳만 남았다
포스코·농협 등 15곳 새로 진입

         1997년 1월 재계 순위 14위였던 한보그룹의 주력 계열사인 한보철강이 부도를 맞았다. 이후 삼미·진로·대농·한신공영 등 대기업의 연쇄 부도가 이어졌고, 7월에는 기아그룹이 사실상 부도 상태에 빠졌다. 연말까지 쌍방울·해태그룹의 화의 신청에 이어 고려증권과 한라그룹이 잇따라 쓰러졌다. 외환 부족으로 국가 부도 위기 상황이 벌어지자 정부는 1997년 11월 21일 IMF(국제통화기금)에 구제금융을 신청했다. 수조원의 공적자금이 투입되어 부실 기업 살리기에 나섰지만 외환 위기로 많은 대기업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셀 수 없이 많은 기업이 생멸(生滅)하지만 IMF 외환 위기는 한국 재계 지도를 단번에 흔들어놨다. IMF 위기 직후인 1998년과 20년이 흐른 지금의 30대 그룹 현황을 보면 극명하게 드러난다. 30대 그룹 중 19개 그룹이 해체돼 사라지거나 업황 쇠락과 함께 덩치가 쪼그라들면서 30대 그룹에서 밀려났다. 967년 대우실업을 모태로 재계 3위까지 오른 대우그룹은 공격적인 확대 경영을 이어가다 자금난을 견디지 못하고 결국 무너졌다. 지금까지 대우 이름을 유지해온 대우건설은 매각 작업이 진행 중이고, 대우조선해양은 방만한 경영과 글로벌 업황 부진으로 위기를 겪고 있다. 대우뿐만 아니라 쌍용(7위·이하 당시 재계 순위)· 동아(10위)·고합(17위)·진로(22위)·동양(23위)·해태(24위) 등 11개 그룹이 사라졌다. 한라·한솔·코오롱·동국제강 등은 20년 세월 속에 각종 부침을 겪으며 30위권 바깥으로 밀려났다. 쪼개진 그룹도 4곳에 달한다. 재계 1위였던 현대그룹은 ‘왕자의 난’ 등을 거치면서 9개 그룹으로 분할됐다. 그룹의 ‘모태’인 현대그룹은 금강산 관광 사업을 추진하다 남북 관계 경색으로 10년 가까이 중단됐고, 지난해 현대상선마저 포기했다. 반면 현대그룹에서 분리된 현대차는 재계 서열 2위에 올랐고, 현대중공업과 현대백화점도 30대 그룹에 이름을 올려놓고 있다. 5개 그룹으로 분할한 LG그룹은 모태인 LG를 비롯해 GS·LS그룹이 여전히 건재하다.
◇ 위기를 기회로 삼은 기업들
삼성·LG·효성 등은 위기를 기회로 삼아 덩치를 키우고 세계 1위의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도약했다. 삼성은 IMF 당시 사내 재무팀이 경영 상태를 진단한 뒤 ‘이익이 되는지’를 기준으로 주력 사업을 전자·금융·무역 등 3~4개로 압축하고, 나머지 계열사를 과감히 정리했다. 재계 관계자는 “기술 제휴, 기술 개발 등에 과감하게 투자하고 원천 경쟁력 확보에 주력해 온 게 지금의 글로벌 삼성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20년 전 51조원이던 삼성의 자산 총액은 7배가 넘는 363조원으로 늘어났다. LG 역시 GS·LS 등이 계열 분리로 떨어져 나갔지만 전자·디스플레이·화학 등 핵심 업종에 집중해 4위를 유지하고 있다. IMF 직후 11위였던 롯데는 재계 순위 5위에 올라서 상승 폭이 가장 컸다. 지난 20년 사이 포스코·KT·신세계·미래에셋·한국투자금융 등 15곳이 새롭게 30대 그룹에 편입됐다. IMF 외환 위기 전인 1997년 4월 삼성에서 분리된 신세계와 CJ는 매출 성장과 인수·합병(M&A) 등을 통한 사업 확장으로 덩치를 키우면서 30대 그룹에 이름을 올렸다.
◇ 20년 지났지만… 외환 위기 악몽 여전
IMF 이후 30대 그룹에 살아남은 11곳 중 하나인 효성도 비주력 계열사를 과감히 정리하고 스판덱스·타이어코드 등 핵심 사업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해 IMF 위기를 극복했다. 현재 스판덱스와 타이어코드는 세계 점유율 1위다. 재계 순위는 17위에서 25위로 떨어졌지만 자산 규모는 2배 넘게 증가했다. 하지만 효성은 20년이 지난 지금도 외환 위기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효성은 당시 정부 요구대로 부실 계열사를 부도 처리하는 대신 우량 계열사와 합병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하지만 10년 넘게 지난 2014년 검찰은 “분식 회계로 순익을 줄여 이를 부실 계열사에 지원한 것은 범죄”라면서 조석래 회장 등을 재판에 넘겼다. 재계 관계자는 “당시 정부의 요구대로 부실 계열사를 지원한 것이고, 다른 대부분 기업도 이런 정부 방침을 따른 것”이라며 “세월이 흐르고 정부가 바뀌자 당시 잣대가 아닌 지금의 잣대로 형사 처벌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