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모를 외국문화에 지갑 털려”

            여섯 살 딸을 둔 회사원 김모(37)씨는 지난주 거금 15만원을 들여 애니메이션 ‘겨울왕국’ 주인공 ‘엘사’ 드레스 세트를 주문했다. 이번 주 유치원에서 열리는 핼러윈(Halloween) 파티에 딸아이가 입고 갈 옷이다. 세트에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정품 드레스와 망토는 물론 불빛이 들어오는 투명 구두와 왕관, 긴 금발 가발이 포함돼 있었다. 하루 행사에 너무 과한 지출 아니냐는 지적에 김씨는 “한 달 생활비에 비해 과하게 비싼 건 사실이지만 이왕이면 내 아이가 제일 예쁘고 화려한 옷을 입어 기죽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에 샀다”고 털어놨다. 매년 10월 31일 핼러윈을 1주일 가량 앞두고 일부 부모들의 극성이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아이들이 유령이나 특정 캐릭터 분장을 하고 이웃을 돌면서 사탕을 얻는 미국 핼러윈 문화는 우리나라에서도 정착이 돼 아이들 사이에서는 이미 ‘필수 행사’. ‘누구보다 내 아이가 예뻐야 한다’는 욕심을 내세우면서 수십만원 비용을 서슴없이 치르는 부모가 점차 늘어나면서 핼러윈이 ‘부모 재력 과시의 장’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핼러윈이라는 단 하루 축제를 위해 부모들이 투자하는 돈은 생각 이상이다. 몇천원대 간단한 것도 있지만 의상 세트 등은 몇십만원을 줘야 하는 것들이 부지기수다. 집에서 아이 유치원 친구들을 모아 핼러윈 파티를 열어주기로 한 이모(40)씨는 집안 장식과 음식 준비에만 벌써 6만원 가량 썼다. 아이가 입을 ‘스파이더맨’ 복장과 아이들에게 핼러윈 영화를 틀어주기 위해 구입한 빔 프로젝터까지 합하면 20만원 가까운 돈이 들어간다. 이씨는 “부모 순서대로 행사가 돌아가는 탓에 거부할 수도 없었다”면서 “의미도 모를 외국 문화 때문에 유난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문제는 부모들 간 경쟁이 벌어진다는 데 있다. 다섯 살 딸이 있는 전모(39)씨는 매주 다니는 영어마을에서 지난주 연 핼러윈 행사를 위해 1주일 넘는 시간을 투자했다. ‘공주 드레스’를 세 종류나 준비하고, 각 옷에 맞는 머리 모양을 연출하는 방법과 쿠키 굽는 법을 틈틈이 인터넷으로 배운 것. 전씨는 “다른 엄마들이 이 정도는 해야 한다고 해 무시당하지 않으려고 열심히 했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더 비싸고 좋은 옷을 입힐수록, 직접 만든 음식으로 정성을 보일수록 다른 학부모들 사이에서 평이 좋아진다는 얘기에 가만히 있을 수가 없었다. 정작 아이는 엄마의 극성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 당연히 소외되는 일부 아이들과 지갑을 쉽게 열수 없는 부모들에게는 상처가 된다. 지난해까지 어린이집에서 근무했던 이모(29)씨는 “핼러윈 행사가 열리면 한 반에서 한두 명 정도는 빈손으로 온다”면서 “서로 얼마나 예쁜 옷을 입었는지 자랑하는 분위기 속에서 아무 것도 준비해오지 못해 울음을 터뜨린 아이도 있었다”고 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밸런타인데이처럼 외국 문화가 무분별하게 전해지면서 상업적으로 변질된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변호사 등 고소득 전문직 15%, 월 200만원도 못벌어

            변호사, 회계사, 변리사 등 고소득 전문직으로 알려진 개인사업자(법인 제외) 중 15% 가량은 월 매출이 200만원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간사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의원이 국세청의 ‘전문직 사업장 현황’ 등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전문직 개인사업자 신고는 총 3만5천108건으로 집계됐다. 2012년 2만9천343건이었던 전문직 개인사업자 신고건수는 4년간 19.6%(5천765건) 늘었다.  전문직 개인사업자에는 변호사, 회계사, 세무사, 관세사, 변리사, 건축사, 법무사, 감정평가사 등이 포함된다. 지난해 신고건수 중 월평균 매출액이 200만원 미만이라고 신고한 이들이 전체의 14.3%인 5천32건이었다. 월 매출액 200만원 미만 신고건수는 2012년 4천423건에서 4년간 30.3%(609건) 증가해 전체 전문직 개인사업자 증가속도보다 빨랐다. 이러한 월 200만원 미만 건수는 등록된 사업장을 의미하기 때문에 실제 일하는 전문직 중 월 200만원도 못버는 이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박광온 의원은 설명했다. 월 매출 200만원 미만 신고건수를 전문직별로 보면 건축사가 전체의 46.3%인 2천331건이었고, 변호사가 17.7%인 889건이었다. 이어 법무사 14.9%(751건), 세무사 13.6%(682건), 회계사 2.5%(125건), 감정평가사 1.8%(90건), 변리사 1.7%(87건), 관세사 1.5%(77건)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전문직 개인사업자의 평균 연 매출액은 2억3천83만원으로 조사됐다. 변리사의 연 평균 매출액이 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변호사가 4억1천200만원, 회계사가 3억2천5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관세사 2억8천600만원, 세무사 2억6천200만원, 법무사 1억6천900만원, 건축사 1억3천800만원, 감정평가사 6천500만원 등으로 집계됐다. 박광온 의원은 “전문직 종사자의 수가 늘어나면서 같은 직종의 전문직 간에도 경쟁이 치열해져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해 이들 전문직 종사자가 국세청에 신고한 소득 외에 세무조사를 통해 추가 적발된 탈세 규모는 1천710억원으로 2015년(1천499억원) 대비 14.1%(211억원) 증가했다.

책 읽는 도시 10년 김해시,‘대한민국 책의 수도’선포

          지난 10년간 책 읽는 도시를 추진한 경남 김해시가 새로운 독서문화 정책사업에 들어갔다. 김해시는 지난 21일 김해 롯데아울렛 주차장에서 책 읽는 도시, 김해 만들기 10주년 기념 북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새로운 슬로건으로 ‘대한민국 책의 수도’를 선포했다고 22일 밝혔다. 슬로건에는 전국 최초로 책도시를 추진한 선두주자라는 의미와 앞으로 더 역동적인 책 읽기 문화를 확산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시는 2007년 10월 6일 ‘책 읽는 도시, 김해’ 만들기를 선포했다. 국내 지자체 중 도서관과 독서문화 발전을 위한 포괄적인 로드맵을 만든 첫 사례였다. 이 정책은 이후 전국 30여 개 지자체가 책 읽는 도시 모델을 만드는 계기가 됐다. 문화체육관광부가 독서문화진흥 기본계획에 책 읽는 도시 정책을 포함하는 계기로도 작용했다. 김해시는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독서·도서관 전담팀과 독립된 사업소(인재육성사업소)를 신설했다. 작은도서관 조례와 독서문화 진흥 조례도 제정했다. 2007년 당시 3만 권에 불과했던 김해지역 장서는 현재 100만 권을 넘었다. 공공도서관은 4곳에서 7곳으로 늘었고 내년 3월에는 1곳이 추가로 문을 연다. 작은도서관은 29곳에서 55곳으로 배가량 늘었다. 책을 더 쉽게 사랑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었다. 2008년부터 통합도서관시스템을 구축해 공공도서관과 작은도서관 구분 없이 함께 자료를 관리할 수 있다. 단일 회원증으로 어느 도서관에서든 대출과 반납이 가능하다. 모든 신생아에게 출생신고 접수처에서 책 꾸러미를 선물하는 북 스타트사업은 벌써 11년째다. 허성곤 김해시장은 “책과 함께 인생을 시작하고 책 읽는 문화공동체를 통해 ‘책의 수도’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주간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